• 최종편집 2024-12-21(토)

뉴스
Home >  뉴스  >  지구촌

실시간뉴스
  • Trump Warns of Severe Consequences if Middle East Hostages Are Not Released by January 20
    Trump Warns of Severe Consequences if Middle East Hostages Are Not Released by January 20 "중동 인질 석방 없으면 중대한 결과" 트럼프 경고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2.03 Former U.S. President and 2024 presidential candidate Donald Trump has issued a stark warning to those holding hostages in the Middle East, threatening unprecedented American military action if they are not released before January 20, 2025, the day he would assume office should he win reelection. Trump reiterated his warning on Truth Social, days after Hamas released a propaganda video featuring American-Israeli hostage Edan Alexander, 20, who pleaded for Trump to secure his release. In the video, Alexander’s plight was highlighted amidst escalating tensions following recent violence in the region. “Everybody is talking about the hostages who are being held so violently, inhumanely, and against the will of the entire World, in the Middle East – But it’s all talk, and no action!” Trump wrote. He did not directly mention Hamas or Israel but made his intentions clear regarding the perpetrators. Trump’s first public statement on this issue was during the Republican National Convention in July, but his latest post intensifies the rhetoric. “Please let this TRUTH serve to represent that if the hostages are not released prior to January 20, 2025, the date that I proudly assume Office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there will be ALL HELL TO PAY in the Middle East, and for those in charge who perpetrated these atrocities against Humanity,” he stated. He further warned, “Those responsible will be hit harder than anybody has been hit in the long and storied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LEASE THE HOSTAGES NOW!” This strong message underscores Trump’s characteristic hardline approach to foreign policy and comes amid ongoing international efforts to resolve the hostage crisis diplomatically. It remains unclear how his comments will influence the current administration’s strategies or affect negotiations in the region. "중동 인질 석방 없으면 중대한 결과" 트럼프 경고 미국의 전 대통령이자 2024년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중동에서 인질로 억류된 사람들이 2025년 1월 20일, 자신이 대통령으로 취임하기 전에 풀려나지 않을 경우 전례 없는 미국의 군사 행동을 경고했다. 트럼프는 하마스가 미국-이스라엘 이중국적 인질 에단 알렉산더(20)의 선전 영상을 공개한 지 며칠 만에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이 같은 경고를 다시 한 번 밝혔다. 해당 영상에서 알렉산더는 트럼프에게 자신의 석방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트럼프는 "중동에서 전 세계의 의지에 반해 잔혹하고 비인도적으로 억류된 인질들에 대해 모두가 이야기만 하고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하마스나 이스라엘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가해자들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트럼프는 이번 사안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을 밝힌 것은 지난 7월 공화당 전당대회에서였다. 그러나 이번 발언에서는 경고의 수위를 더욱 높였다. 그는 “이 글이 2025년 1월 20일, 내가 자랑스럽게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기 전에 인질들이 석방되지 않는다면, 중동에서 '모든 지옥이 쏟아질 것'이며, 인류에 반하는 이러한 잔혹 행위를 저지른 자들에게 중대한 대가가 있을 것임을 알리는 경고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책임자들은 미국의 길고 유서 깊은 역사 속에서도 누구보다 강력한 타격을 받을 것이다. 지금 당장 인질들을 석방하라!”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이번 강경 발언은 그의 특유의 강경한 외교 정책 접근 방식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 이는 현재 정부의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해당 지역에서 진행 중인 외교적 협상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는 불확실하다. #TRUMP#인질#석방#대통령#취임식#시사k뉴스#외교정책 #East Hostages#www.sisaknews.com Hostages#www.sisaknews.com
    • 뉴스
    • 지구촌
    • 미국/북중미
    2024-12-03
  • Will K-Nuclear Power Lead the Global Nuclear Renaissance?
    Will K-Nuclear Power Lead the Global Nuclear Renaissance? K-원전, 세계 원자력 르네상스의 중심으로 도약할까? 기후위기 시대, 원자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1.18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nuclear power is once again in the spotlight. TIME magazine, in its July 2020 cover story titled "One Last Chance," warned of the severity of the climate crisi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humanity to deploy every possible measure. The following year, the European Commission included nuclear power as a climate crisis response measure by revising its taxonomy to classify it as a sustainable energy source. Against this backdrop of global energy transition, the role and prospects of Korean nuclear power (K-Nuclear) are receiving renewed attention. The European Union (EU) initially excluded nuclear power from its 2020 Green Deal, a comprehensive policy for sustainable growth. However, just two years later, it made a pivotal decision to include it, acknowledging that achieving carbon neutrality would be challenging without nuclear energy. In June 2022, The New York Times highlighted this shift by reporting on the "nuclear renaissance," signaling the reemergence of nuclear power as a key solution to the climate crisis. K-Nuclear's Competitive Edge K-Nuclear is gaining recognition in the global nuclear market for its technological strength and reliability. Notably, South Korea successfully completed the Barakah Nuclear Power Plant project in the UAE, demonstrating its safety and efficiency on the international stage. Technological Expertise: South Korea possesses world-class nuclear design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Cost Competitiveness: Korean nuclear plants maintain high efficiency and stability while having comparatively lower construction and operational costs, giving them a competitive edge in the global market. Expanding Global and Domestic Opportunities South Korea is actively seeking to expand cooperation with countries in Eastern Europe, Southeast Asia, and Africa, where the need for nuclear energy is growing. As global demand for nuclear power rises, K-Nuclear has the potential to expand its market, leveraging its proven technology and trustworthiness. Domestically, nuclear power is recognized as a vital energy source for achieving stable power supply and carbon neutrality. Its role in complementing the intermittency of renewable energy is particularly significant, suggesting an even greater reliance on nuclear power in the future. Challenges to Overcome Despite the resurgence of nuclear power, several challenges remain: Nuclear Waste Management: Handling and long-term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continues to be a contentious issue. Ensuring Safety: Ongoing safety concerns, exacerbated by the Fukushima disaster, remain a barrier to gaining public acceptance. Balancing Renewables: While nuclear power is now recognized as sustainable, policies must strike a balance between it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K-Nuclear: At the Heart of Global Energy Transition As the world faces a climate crisis and energy transition, K-Nuclear is poised for new opportunities. By capitalizing on its technological excellence and reliability, South Korea can strengthen its foothold in the global nuclear market and solidify its role as a stable energy supplier domestically. However, addressing challenges such as safety, waste management, and social consensus is essential for its long-term success. K-Nuclear is ready to play a pivotal role at the center of the global energy transition. #K-원전#탄소중립#르네상스#대한민국#시사k뉴스
    • 뉴스
    • 지구촌
    2024-11-18
  • K-문학의 쾌거,재미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해외문학상) 거머쥐다.
    K-문학의 쾌거,재미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해외문학상) 거머쥐다.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0.12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에 뒤이어 재미작가 김주혜가 '작은 땅의 야수들'로 톨스토이 문학상 해외문학상 수상이라는 멋진 소식이 들려왔다.김주혜 작가는 2024년 러시아 톨스토이 문학상(야스나야 폴랴나상) 해외문학상을 수상한 한국계 미국 작가다.일명 톨스토이 문학상이라고 불리는 야스나야폴랴나상은 톨스토이 탄생 175주년인 2003년 삼성전자 러시아 법인이 러시아의 '레프 톨스토이 박물관'과 함께 제정한 상으로 러시아 최고 권위의 문학상으로 평가받는다.그녀의 장편소설 "작은 땅의 야수들"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반도에서 투쟁했던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투쟁을 그린 작품으로, 역사와 인간성을 깊이 있게 탐구한 내용이다.이 소설은 세계적인 문학계에서도 주목받으며, 특히 러시아 심사위원들은 이 작품을 톨스토이의 작품과 비교할 만큼 높이 평가했다.김주혜는 독립운동가였던 외할아버지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아 이 작품을 완성했다고 밝혔으며, 작품 속에서 한국의 역사와 정체성을 표현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특히 한국 문화에서 호랑이를 독립의 상징으로 사용한 점이 눈에 띄며, 그녀는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세계에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고 소감을 전했다.K-문학이 세계인들의 마음을 훔치고 있다.겹경사이며 쾌거다.K-Literature Triumphs: Korean-American Author Joo-Hye Kim Wins Tolstoy Literary Award (International Category)Following the recent Nobel Prize win by author Han Kang, Korean-American writer Joo-Hye Kim brings more exciting news, winning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Award of the Tolstoy Literary Prize with her novel, Beasts of a Small Land.Joo-Hye Kim, a Korean-American author, was honored with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Award at the 2024 Yasnaya Polyana Literary Prize, known as the Tolstoy Literary Award. This prestigious award, established in 2003 to mark the 175th anniversary of Tolstoy's birth, is a collaboration between Samsung Russia and the Lev Tolstoy Museum.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literary prizes in Russia.Her novel 'Beasts of a Small Land' is se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nd portrays the struggles and lives of ordinary people fighting for freedom. The work delves deeply into both history and the human condition, earning widespread recognition in the global literary community. Russian judges were particularly impressed, even comparing her work to that of Tolstoy himself. Kim revealed that she drew inspiration for the novel from her grandfather,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she made a significant effort to depict Korea’s history and identity through the story. The novel also features the Korean tiger as a symbol of independence, showcasing elements of Korean culture and history to a global audience.K-literature is capturing the hearts of readers worldwide—this is a double triumph and a monumental achievement. #Beasts of a Small Land#김주혜#톨스토이문학상해외문학상 #레프톨스토이박물관#작은땅의야수들#시사k뉴스
    • 뉴스
    • 지구촌
    • 미국/북중미
    2024-10-12
  • 홈으로 뉴스 정책뉴스 콘텐츠 영역 공유열기 공감수 28 댓글수(클릭시 댓글로 이동) 1 ‘한국 전통문화’ 파리에서 통했다…“외국인들, 홀린 듯 몰려와”
    대회 막바지를 향하고 있는 ‘2024 파리 하계올림픽’에서, 한국은 펜싱, 양궁, 사격, 배드민턴, 태권도 등 스포츠사에 새로운 신화를 쓰며 기대 이상의 고공비행을 하고 있다. 케이(K)-스포츠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등 한류 행사에서도 금메달급이라는 호평이다. 특히 파리 현지 ‘코리아하우스’ 내 전통문화 전시 <댓츠 코리아: 시간의 형태>는 지극히 한국적인 공간과 작품들로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정책브리핑’은 이번 전시를 기획한 김민경 예술감독과 서면 인터뷰를 통해 현지 분위기를 느껴본다. 올림픽 축제 열기로 가득한 파리 시내 7구에서 한류 문화의 원류라 할 수 있는 ‘한국 전통문화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달 25일 코리아하우스 개관과 동시에 심장부인 중앙홀을 중심으로 한복, 한지, 한식(소반) 등을 소재로 한 <댓츠 코리아(THAT’S KOREA): 시간의 형태> 전시가 개최 2주 만에 관람객 4만 5000명을 돌파하며 흥행 중이다. 전시 <댓츠 코리아(THAT’S KOREA): 시간의 형태>는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부터 현대 작가까지 총 17명(팀)이 참여해 한복과 달항아리, 소반, 누비 등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원형과 창조적 변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3개의 공간으로 나눠 표현했다. 파리 현지인과 외국 관광객들은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역사적 가치를 품고 변화해 온 한국 전통문화의 유연성에 주목하며 시간의 형태 속에 빚어진 작품에 완전히 매료됐다. 전시 <댓츠 코리아(THAT’S KOREA): 시간의 형태>는 문을 연지 2주 만에 관람객 4만 5000명을 돌파하며 흥행 중이다. 이번 전시는 ‘한국에는 있고’, ‘프랑스에는 없는’ 콘텐츠로 구성돼 모든 콘텐츠가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다. 이번 전시를 총괄한 김민경 예술감독은 “문화는 다르지만 한 공간에 함께 공존해도 어색하지 않은 것이 문화이기 때문에 그 문화의 힘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매력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연출했다”고 말했다. 문화적 조우를 통해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적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신경을 쓴 것이다. 이를 위해 김 감독은 ‘통일성’과 ‘유연성’ 부분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각기 다른 3개의 방의 현재의 공간을 최대한 훼손하거나 변형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전시를 하도록 색상과 크기를 분석한 후 전체적인 통일성을 지키기 위해 한국식 가구를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골드와 연한 파랑, 어두운 각 방의 색상에 어울리는 먹색과 흰색 가구 위에 자개를 입혀 한국식 가구로 프랑스 공간과 묘하게 융합되는 전체적인 분위기를 잘 살린 뒤 ‘원형(제1장 Salle 33) - 원형과 현재(제2장 Salle 34) - 원형의 미래(제3장 Salle 69)’의 순으로 작품들을 배열했다. 김민경 예술감독이 가장 신경 쓴 마지막 전시 공간 ‘원형의 미래(제3장 Salle 69번)’에서 국가무형유산 누비장 故김해자 장인의 ‘손누비 장옷’을 소개하고 있다. 김 감독이 가장 신경 쓴 곳은 마지막 전시 공간인 ‘원형의 미래(제3장 Salle 69번)’이다. 이곳에서는 이번 올림픽 전시를 앞두고 작고한 국가무형유산 누비장 故김해자 장인의 ‘손누비 장옷‘을 볼 수 있다. 김 감독은 “평소 선생님께서는 한국의 복식 문화가 세계에 많이 알려져 누비옷이 글로벌 명품 반열에 오르길 바라셨다”며 “그 뜻을 고스란히 담아 전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누비의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사실 김 감독은 한류 바람이 불기 시작한 1990년 후반부터 한국 전통문화의 진수를 관람객들에게 알리고 싶었다. 김 감독은 “평범한 전시 형태나 구성에서 벗어나 K-문화의 교두보 역할을 하기 위해 고급 콘텐츠와 세련된 구성으로 올림픽에서 다 함께 즐기고 나눌 수 있는 문화 기반의 올림픽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파리올림픽 기간 오랜 염원의 뜻이 빛을 발하고 있다. 이제 한국 문화는 ‘변방’이라는 키워드 보다 ‘메인’이라는 키워드로 설명하기에 적절할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다. 예술의 도시 파리 한복판에서 한국 전통문화 전시의 열기는 지칠 줄 모르고 있다. 김 감독은 “외국인들이 무언가 홀린 듯 69번 공간으로 들어가 한국 음악과 결합된 미디어아트 작업을 보고 신기한 듯 한참을 감상한다”며 뿌듯해 했다. 다음은 김민경 예술감독과의 일문일답. ◆ 한국전통문화 전시 ‘댓츠 코리아: 시간의 형태’는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부터 현대작가까지 총 17개 팀(명)이 참여해 공간을 3개로 나눠 전시하고 있는데요, 소개 부탁드려요. <형태의 시작>, <오늘의 형상>, <원형의 미래>라는 3개의 공간으로 나눠 역사적 가치를 품고 변화해 온 ‘한국 전통문화’의 유연성에 주목하며 시간의 형태 속에 빚어진 작품들로 구성했습니다. 먼저 제1장 Salle 33은 <형태의 시작>으로 달항아리, 궁중채화 및 한복 등 전통의 원형을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전시 공간 중앙에는 한국 정체성의 아이콘이라 불리는 ‘달항아리’와 궁중에서 큰 행사나 좋은 일이나 경사스러운 날에 빠지지 않았던 ‘궁중채화’를 통해 올림픽 선수를 응원하고 승리를 염원하는 마음을 담아 새롭게 제작했습니다. 이와 함께 평면적 구성과 곡선의 미학을 담은 우리나라 전통 한복인 ‘답호(남자)’와 ‘당의(여자)’ 그리고 프랑스 공간에 어울리는 색상으로 사대부 여성의 대표적인 예복인 ‘원삼’을 재현했습니다. 전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약 270년 만에 화협옹주 묘에서 출토된 재현 전통 화장품과 다양한 전통 장신구를 함께 전시했습니다. 3개의 공간으로 나눠 ‘한국 전통문화’를 조명한 전시 <댓츠 코리아(THAT’S KOREA): 시간의 형태>의 작품들. 제2장 Salle 34는 <오늘의 형상>으로 소반과 한지를 이용한 작품을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한국의 식문화를 담고 있는 소반은 지역마다 특색이 다르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전통 나주 소반과 지속 가능한 소재를 적용한 현대식 투명 소반 그리고 전통 한지로 연출한 ‘한지꽃’, 한지에 옻칠과 금속 프레임을 활용한 현대적 ‘한지 조명’을 선보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제3장 Salle 69는 <원형의 미래>로 전통 누비와 미디어아트를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누비는 예부터 옷감을 보강하거나 보온을 위해 겉감, 안감 사이에 솜이나 털 등을 넣거나 아무것도 넣지 않고 안팎을 줄지어 규칙적으로 홈질해 맞붙이는 손바느질로, 바늘땀의 간격이 0.3㎝, 0.5㎝, 1.0㎝ 이상으로 구분될 정도로 섬세하고 정교한 작업입니다. 특히 이번 올림픽 전시를 앞두고 작고하신 국가무형유산 누비장 故김해자 장인의 마지막 유작인 0.3cm로 손바느질 한 ‘손누비 장옷’을 공개함으로써 누비에 대한 철학과 아름다움을 전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했습니다. 또 이러한 미래의 원형이 되는 작업의 형태와 시간을 미디어아트 그룹 사일로랩의 ‘Kinetic lighting Installation’ 작품을 통해 한국적인 음악에 맞게 조명과 움직임을 이용한 미디어아트로 형상화하기도 했습니다. ◆ 처음에 어떤 기획 의도로 이번 전시를 만들게 되었을까요? 한류 바람이 불기 시작한 1990년 후반부터 한국 문화의 원류라 할 수 있는 한국 전통문화의 진수를 찾아오는 관람객들에게 깊이 있고 다양한 콘텐츠를 알리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올림픽과 같은 국제 스포츠 행사에서는 코리아하우스 내 문화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 않았습니다. 구성만 보더라도 문화적인 면보다는 단순히 축하 공연이나 이벤트성 전시, 체험 행사로 진행돼 체육인들의 교류의 장으로서 역할이 컸습니다. 이제 코리아하우스를 찾아오는 관람객들은 단순히 올림픽만 즐기기보다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열망이 높아져 제대로 향유하고 있습니다. 한국 문화는 이제 더 이상 변방의 문화로 치부되지 않으며 예술의 도시 프랑스에서 당당한 주류 문화로 거듭나고 있고 그 현장을 똑똑하게 목격하고 있습니다. 이에 발맞춰 평범한 전시 형태나 구성에서 벗어나 K-문화의 교두보 역할을 하기 위해 고급 콘텐츠와 세련된 구성으로 스포츠 올림픽에서 다 함께 즐기고 나눌 수 있는 문화올림픽으로의 도약을 기대합니다. ◆ 전시를 준비하면서 가장 신경 쓴 곳과 어떤 생각을 많이 하셨는지요. 가장 신경 쓴 곳은 마지막 전시 공간인 ‘제3장 Salle 69번’입니다. 국가무형유산 누비장 故김해자 장인께서 평소 말씀하신 ‘한국의 복식 문화가 세계에 많이 알려져 누비옷이 글로벌 명품 반열에 오르길 바란다’는 뜻을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싶었습니다. 이에 선생님의 마지막 유작인 0.3cm로 손바느질한 ‘손누비 장옷’을 볼 수 있는 귀한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아울러 이번 올림픽은 친환경·저탄소 올림픽이라고 강조한바, 이에 동참하기 위해 ‘제2장 salle 34번’에서 하지훈 작가의 현대식 소반을 폐플라스틱으로 만들었습니다. 김민경 예술감독이 전통 나주 소반과 지속 가능한 소재를 적용한 현대식 투명 소반을 설명하고 있다. 가장 많이 고민한 것은 코리아하우스 내 전시 공간에 대한 연출 부문입니다. 한국 전통문화의 원형과 그것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 그리고 이것을 미래적으로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에 대해서 말이죠. 문화는 다르지만 같은 공간에서 공존해도 어색하지 않은 것이 문화입니다. 그 문화의 힘으로 사람들을 편안하게 한국 전통문화의 매력으로 인도하고 싶었습니다. 따라서 전형적인 프랑스 건물 내 각기 다른 3개의 공간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라는 카테고리를 유연하고 통일성 있게 연출하고자 했습니다. 문화적 조우를 통해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적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골드와 연한 파랑, 어두운 각기 다른 3개의 공간 색깔에 맞춰 먹색과 흰색 가구 위에 자개를 입히고 프랑스 공간에 묘하게 어울리는 한국식 가구로 전체적인 분위기를 연출한 뒤 각 방을 ‘원형 - 원형과 현재 - 원형의 미래’ 순으로 배열했습니다. 한국실로 짠 ‘춘사가리개’ 또한 한국식 좌대와 쇼케이스와 같은 작품은 전면에 잘 보이게 배치한 반면, 그 외 각 공간 사이의 출입문에는 한국실로 짠 ‘춘사가리개’를 달아 조심스럽게 가리개를 걷고 그 방을 진입해 한 템포 쉬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도했습니다. ◆ 전시를 볼 때 가장 눈여겨볼 공간(전시) 소개와, 처음 한국 전통문화 전시를 보는 관람객들께 어떤 포인트를 중심으로 보면 좋을지도 알려주세요. 전시를 준비한 입장에서는 모든 공간이 특색이 있고 다 눈여겨볼 만합니다. 특히 이번 전시는 ‘한국에는 있고’, ‘프랑스에는 없는’ 콘텐츠로 구성했기 때문에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시 순서는 ‘원형의 시작 - 원형과 현재 - 원형과 미래’로 구성했고 관람객 개개인의 발걸음이 멈추는 그곳에서 집중해 관람하길 추천합니다. ◆ 이번 전시 기간 기억에 남는 관람객이 있을까요? 공간마다 특색이 달라서 한 명을 꼽기보다는 공간마다 반응이 어땠는지 이야기하겠습니다. 우선 메인 중앙홀에 위치한 ‘Salle 33번’ 전시 공간은 구조상 사람들의 이동이 가장 많으며 혼자 또는 둘이 오는 관람객들이 작품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편입니다. 외국인 관람객들은 한복과 장신구, 화장품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한복은 프랑스에 없는 평면 디자인라는 점에서 자세히 관찰하고 대부분 포토존에서 인증 사진을 찍는 걸 봤습니다. 여자들은 아무래도 의상과 보석, 화장품에 관심이 많다 보니 안내원의 설명을 듣고 판매처를 묻는 외국인들도 상당히 많았습니다. ‘Salle 34번’ 방은 전통소반과 현대식 소반, 한지꽃, 한지 조명이 있는 전시 공간으로 테이블 문화에 익숙한 외국인들이 작은 소반에 감탄하고 폐플라스틱이라는 친환경 소재를 활용해 만든 소반이라는 것을 알고 한 번 더 놀라며 흥미로워했습니다. 전시 ‘댓츠 코리아: 시간의 형태’ 중 마지막 전시 공간인 제3장 Salle 69 <원형의 미래> ‘Salle 69번’ 방의 경우 더운 날씨에 유일하게 줄을 서는 방입니다. ‘한국적인 음악과 정서가 잘 나타나져 있는 것 같다’는 평이 주를 이뤘으며 故김해자 선생님에 대한 해설을 듣고 많은 관람객이 경이로움과 감탄했습니다. 사일로랩의 미디어아트를 3~4번 조용히 감상하고 가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이 밖에도 ‘색다른 경험이었다’, ‘음악에 이끌려 이 공간으로 들어왔다가 너무 충격적인 작업을 관람하게 됐다’는 반응과 ‘여기에 사용된 음원은 어디서 살 수 있나요?’, ‘이 작업의 작가는 누구인가요?’ 등의 질문들도 있었습니다. ◆ 이제 전시 기간이 절반 이상 지나갔습니다. 처음 기획하신 의도대로 외국인 관람객들에게 잘 전달되었는지요.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놀라울 정도로 현지 반응은 뜨겁습니다. 처음에는 개관한 날(7월 25일)과 대한민국의 날(8월 1일) 행사까지 마무리하고 귀국할 예정이었으나, 현장 반응이 좋아 취재 요청이 많이 들어와서 마지막 날까지 파리에 있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느 코리아 하우스와는 다른 성격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문화예술의 중심인 파리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를 제대로 보여주기 위해 정해진 공간 안에 최대한 조화로운 콘텐츠를 구성한 것이 많은 관람객의 발을 잡는 요인이 된 것 같습니다. 무심히 지나갈 수 있는 공간에 안내 도우미의 설명을 듣고 가던 길을 멈추고 진중히 듣는 관람객의 모습에 여러 번 감동을 받았습니다. 외국인들이 무언가 홀린 듯 69번 공간으로 들어가 한국 음악과 결합된 미디어아트 작업을 보고 신기한 듯 한참을 감상하고 차분히 돌아서는 뒷모습도 인상적입니다. 프랑스에서는 볼 수 없는 작은 소반을 보며 신기해하고 한지로 조명을 재해석해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외신 기자들도 다른 나라 홍보관에 비해 코리아하우스의 수준이 다르다며 취재진들의 열띤 관심을 받았습니다. 비단 외국인과 외신 기자들뿐 아니라 선수들도 다녀갔는데, ‘체육인이지만 한국 문화를 여기서 배운다’, ‘작품 관람 후 기대 이상으로 기분이 너무 좋다’ 등의 호평이 연일 이어졌습니다. ◆ 올림픽 기간 파리 시내에서 한복, 한지, 한식 등 한국 전통문화를 전시하시면서 감회가 새로우시겠어요. K-문화의 위상을 여실히 느끼셨을 텐데요. 전 세계적으로 K-문화의 입지와 위상이 많이 올라가 높아진 것은 사실입니다. 이번에도 코리아하우스 내에서 한국 문화를 접하고 한국에 놀러 가고 싶다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한국 전통문화를 알리기에 아직도 아쉬운 점은 있습니다. 이번 올림픽처럼 각 기관이 협력해 다양한 행사를 ‘같이’ 하다 보면 시너지 효과가 분명히 있습니다. 앞으로는 올림픽이 스포츠를 넘어 문화를 기반으로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고 가장 한국스러운 전통문화를 현재 그리고 미래에 맞춰 융화시켜 전 세계가 한국 문화를 누리는 날이 머지않아 올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 뉴스
    • 지구촌
    • 유럽
    2024-08-11
  • “파리 한복판서 케이팝과 떡볶이를”…파리지엔, 한국에 푹 빠졌다
    최근 한국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는데, 파리하계올림픽 때 또 한번 한국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바로 파리 시내 7구에 문을 연 ‘코리아하우스’를 방문해서다. 한국을 직접 가지 않고도 한국의 음식과 전통문화, 케이 팝 등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을 생각만 해도 설레었다. 프랑스 파리 시내 7구에 위치한 ‘메종 드 라 시미(Maison de la Chimie)’에서 운영되는 ‘코리아하우스’ 외관 모습. 코리아하우스가 설치된 파리 시내 7구 ‘메종 드 라 시미(Maison de la Chimie)’는 파리의 상징인 에펠탑 인근에 위치한 곳이라 항상 외국인 관광객들로 북적인다. 나는 코리아하우스 개관식이 있는 25일(현지시간) 방문했는데. 이미 많은 사람들이 한국의 맛과 멋을 즐길 준비를 하고 있었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고풍스러운 한국의 전통문화가 그대로 반겨줬다. 코리아하우스에서 가장 처음 참여한 홍보관은 한국 관광지에서 사진을 찍는 콘셉트로 한국관광공사가 선보인 ‘내 별자리에 맞는 관광지’이다. 정말 흥미로웠다. 강릉, 부산, 전주 등 지역별 주요 관광지를 배경으로 즉석사진을 찍을 수 있다. 추천 받은 행사 3개 중에 ‘보령머드축제’가 있었는데, 다음에 꼭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코리아하우스 ‘내 별자리에 맞는 관광지’ 홍보관에서는 한국의 관광명소 등을 배경으로 스티커 사진을 찍어 추억을 남길 수 있다. 개관식, 정부·문화·예술계 전 세계인 참석…“지금 파리는…K-컬쳐 푹 빠져” 이날 개관식에는 정부 대표를 비롯해 외교관, 예술가, 문화계 인사 등 전 세계인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비롯해 감동적인 예술가의 연설까지, 성공적이었다. 한국어로 진행돼 모두 알아들 수는 없었지만 함께 참여한 프랑스 친구들도 만족스러워 했다. 7월 25일 ‘코리아하우스 개관식’ 기념 공연 모습 개관식에서 가장 큰 볼거리는 한복 체험 등 K-전통 문화를 비롯해 끊임없이 새로워지는 한국 예술의 창의성을 모두 조명한 것이었다. 농식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이 지정한 파리 지역 우수 한식당 5곳(인순그릴, 이도, 종로삼계탕, 마시타, 삼부자)과 CJ제일제당 퀴진케이영셰프 6인이 함께 참여해 전통 한국 음식을 개발한 ‘한식뷔페’를 선보였다. 한식 뷔페에서는 한국 요리의 고급스러움과 파리의 멋을 같이 선보여 환상적인 퓨전 그 자체였다. ‘CJ그룹관’에서 한국의 영화, 드라마, 음악, 예능 등의 인기를 느낄 수 있다. CJ그룹관도 정말 흥미로웠다. K-팝과 K-콘텐츠, K-푸드 등 K-컬쳐 세상에 푹 빠질 수 있었다. 한국의 영화, 드라마, 음악, 예능, 뷰티 등의 인기를 느낄 수 있었던 이번 여행은 풍성하고 훌륭했다. ‘자드’ 한국어학과 대학생, 코리아하우스 스태프 코리아하우스 정원에서 개관식을 바라보고 있는 프랑스인 대학생 자드를 만났다. 자드는 “코리아하우스에 방문한 한국 선수들을 직접 볼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며 15개의 홍보관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즐기며 한국 문화를 경험했다고 말했다. ‘비비고 시장’에서 떡볶이와 만두, 핫도그, 주먹밥, 김치 등 K-푸드를 먹어볼 수 있다. 그는 ‘내 별자리에 맞는 한국 관광지’와 ‘포토박스’를 가장 재미있게 즐겼다. 특히 “동료들과 ‘비비고 시장’에서 떡볶이와 만두, 핫도그, 주먹밥, 김치 등 K-푸드를 먹어봤는데 예상했던 대로 정말 맛있었다”며 엄지척을 들었다. ‘마리’ 한국학과 대학생, 전통문화존 스태프 코리아하우스 1층에 있는 전통 예술품을 전시하는 ‘전통문화존’에서 마리를 만났다. 마리는 올림픽 기간 동안 이곳에서 전시품을 지키며 한국 전통 예술품을 방문객에게 소개하는 일을 하고 있는 프랑스인 한국학과 대학생이다. 개관 첫날이라 그런지, 마리 또한 한복과 한지, 한식 등 한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역사를 체험하는데 푹 빠져 있었다. 마리는 “친구들과 함께 와서 포토존에서 사진을 많이 찍었다”며 “공모전에 참여해 선물도 받을 수 있어서 즐겁다”고 소감을 전했다. 코리아하우스 입구에 국가대표 선수단 사진, 경기 결과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한체육회존’ 코리아하우스 입구에 들어서면 대한체육회의 연혁 등을 소개하는 ‘대한체육회존’이 있다. 한국 선수단의 올림픽 주요 결과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다. K-팝 문화 속 여행에서 사진 촬영을 빼놓을 수 없다. 코리아하우스에도 국가대표 선수, K-팝 아이돌, 한국의 관광명소 등을 배경으로 스티커 사진을 찍어 추억을 남길 수 있는 ‘포토이즘 존’이 있다. ‘문화와 관광존’에서는 영상에서 봤던 한복을 입어 볼 수 있어 입고 기념 촬영을 했다. 프랑스인 마리는 한복을 처음 입어 본다며 즐거워 했다. 정원에 들어서면 한국 전통시장의 무대를 연상시킨다. 특히 한국 여행하면 놓칠 수 없는 포장 마차에서 즐겨 먹는 만두와 떡볶이 등 한국 음식과 함께 시원한 카스 맥주 한 잔을 맛볼 수 있다. 초대형 화면에서는 한국 선수단의 경기가 상영되고 있다. 마리는 “코리아하우스는 어디를 가든 항상 즐겁고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면서 “정기 부스뿐만 아니라 임시 프로그램도 있어 홈페이지에서 일정을 확인하고 입장권을 예매해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외국인들이 ‘카스포차’에서 한국 음식과 함께 시원한 맥주 한 잔을 하고 있다. 한국의 위상 재확인…문화 개방과 국제 교류 상징 이번 코리아하우스 개관을 계기로 세계 문화 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을 재확인했다. 올림픽 기간 동안 파리 시내 한복판에서 방문객들은 풍성한 행사를 통해 한국의 전통 문화부터 현대 문화까지 모두 경험해 볼 수 있다. 한국의 과거와 현재가 만나 쌍방향 문화를 소개하는 장소가 될 것이다. 한국 문화 홍보관으로 스포츠, 예술, 전통 문화, 관광, 음식 콘텐츠를 알리는 동시에 국내외 예술가·작가, 선수와 팬들 간의 만남의 장으로 역할을 다할 것이다. 문화 개방과 국제 교류의 상징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 이 기사는 프랑스 현지에서 랑뚜 오니리나(Lantou Onirina) 코리아넷 명예기자의 체험기를 바탕으로 편집한 내용입니다. 코리아넷은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대한민국의 정부 정책과 문화, 역사,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다국어 기반 웹사이트이며, 세계 각국의 명예기자를 위촉, 운영하고 있습니다. *편집자 주‘2024 파리 하계올림픽’이 지난 7월 26일(현지시간) 17일간의 대장정의 막을 올렸다. 한국은 파리 현지에 ‘코리아하우스’를 개관해 케이(K)-스포츠뿐만 아니라 K-문화, K-예술 콘텐츠를 전 세계에 알리며 초반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파리 시민이자 코리아넷의 명예기자이기도 한 랑뚜 오니리나(Lantou Onirina)가 보내온 코리아하우스 체험기를 통해 ‘외국인이 본 파리 속 한국’을 생동감 있게 전달한다. #파리하계올림픽#코리아하우스#k스포츠#k문화#k예술#콘텐츠#시사k뉴스www.sisaknews.com
    • 뉴스
    • 지구촌
    2024-08-04
  • 100년 만의 ‘파리올림픽’…충격과 신선함, 아름다움 자체였다
    올림픽 성화가 100년 만에 프랑스 파리로 돌아왔다. 스포츠는 그 100년의 시간 동안 하나의 거대한 문화이자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각본 없는 드라마는 그렇게 예술이 됐고, 예술의 도시 파리에서 이를 가감 없이 펼쳐 보였다. 선수단 입장부터 성화 봉송과 점화까지, 모든 것이 충격이었고 신선했으며 아름다웠다. ‘2024 파리올림픽’ 개회식이 지난 26일 파리 센강(La Seine)과 에펠탑 일대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개회식 당일 낮부터 파리는 달아올랐다. 대형 스크린이 설치된 파리 개선문 북동쪽 몽소 공원에서 만난 안나는 “개회식 장소인 센강 주변으로 사람이 몰릴 것 같아 몽소 공원에서 가족들과 개회식을 보기로 했다”며 “경기장이 아닌 강에서 열리는 개회식이 어떤 모습으로 연출될지 정말 기대된다”고 말했다. ‘완전히 개방된 대회(Games Wide Open)’를 슬로건으로 내건 2024 파리 올림픽은 그 시작을 128년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경기장이 아닌 외부, 그것도 파리를 가로지르는 낭만의 장소 ‘센강’을 택했다. 2024 파리 올림픽 개회식이 열린 26일 프랑스 파리 이에나 다리 인근에서 관중들이 각국 선수단의 센강 보트 행진을 관람하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각국의 선수와 관계자 6800여 명은 85척의 배에 나눠 타고 오스테를리츠 다리에서 출발해 노트르담 대성당, 루브르 박물관, 콩코르드 광장, 그랑 팔레 등 파리를 상징하는 장소를 지나 에펠탑 인근 트로카데로 광장까지 약 6㎞를 행진했다. 입장은 올림픽 발상지인 그리스가 첫 번째, 난민 선수단이 두 번째였다. 한국 선수단은 프랑스어 알파벳 순서에 따라 205개 참가국 중 48번째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때 장내 아나운서가 한국의 국명을 ‘북한’으로 소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직접 전화해 사과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에게는 사과 서한을 보냈다. 8년 만에 하계 올림픽 무대로 돌아온 북한 선수단은 포르투갈, 카타르와 한배를 타고 153번째로 입장했다. 대한민국 올림픽 선수단의 기수 우상혁(오른쪽)과 김서영이 26일 프랑스 파리 센강 일대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개회식에 참석하기 위해 배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번 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는 총 1만 500여 명이지만, 대회 일정 등으로 모든 선수가 개회식에 참석하진 않았다. 일례로 서핑 경기는 파리에서 1만 6000km 떨어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타히티섬에서 열려 서핑 선수들은 타히티에서 개회식을 지켜봤다. ☞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 확인하고 응원 댓글 이벤트 참여하기 배의 크기는 선수단 규모에 따라 소형부터 대형 유람선까지 다양했다. 선수단 규모가 작은 경우 입장 순서가 비슷한 나라들의 선수단이 함께 한배에 올랐다.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였지만 조직위원회 추산 30만여 명의 관중이 센강 주변에서 이를 지켜봤다. 현장에서는 오히려 비가 내려 운치를 더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함께 비를 맞은 선수들은 환영하는 전 세계인들을 향해 자국 국기를 흔들며 축제를 즐겼다. 파리 현지 시각 오후 9시가 넘어 해가 완전히 지자 센강 주변은 조명과 어우러져 더욱 아름다웠다. 26일 프랑스 파리 센강 일대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개회식중 선수들이 이동하는 콩시에르주리 앞에서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개회식을 더욱 빛낸 건 다양하고 화려한 공연들이었다. 조직위는 프랑스 조폐공사의 지붕, 센강변 계단, 다리, 부둣가, 광장 등 도시의 모든 곳을 무대로 활용했다. 먼저 팝스타 레이디 가가가 등장해 1961년 지지 장메르가 발표한 ‘깃털로 만든 내 것’이라는 원곡을 재해석한 공연을 선보이며 개회식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이후 프랑스의 록밴드 고지라와 오페라 가수 마리나 비오티가 혁명의 노래 ‘아 잘될 거야’를 자신들의 색깔에 맞춰 편곡해 불렀다. 프랑스에서 높은 인기를 자랑하는 아야 나카무라의 공연과 프랑스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알렉상드르 캉토로프의 피아노 연주가 개회식의 운치를 더했고, 프랑스 래퍼 림케이도 개회식에 등장해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다양한 음악과 함께 캉캉, 브레이크, 발레, 유로 댄스 등 여러 종류의 춤 공연과 패션쇼도 이어져 선수들의 흥을 높였다. 분위기가 절정이던 상황에서 파리를 물들인 건 존 레논의 대표곡 ‘이매진(Imagine)’이었다. 센강 위의 작은 표류물에서 프랑스 출신의 줄리엣 아르마네는 소피안 파마르가 불타는 피아노로 연주하는 이매진 반주에 맞춰 아름다운 목소리로 열창, 관중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로써 이매진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2020 도쿄 하계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이어 파리에서도 불리게 됐다. 셀린 디온이 26일 프랑스 파리 트로카데로 광장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개회식에서 사랑의 찬가를 부르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축하공연의 하이라이트는 셀린 디온의 몫이었다. 이미 개회식에 등장할 것이라는 기대가 컸던 디온은 성화가 점화된 뒤 에펠탑에서 사랑의 찬가를 열창, 선수와 관객들을 열광하게 했다. 디온은 지난 수십 년간 정상급 디바로 활동하다가 지난 2022년 12월 근육이 뻣뻣해지는 ‘강직인간증후군(SPS)’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을 했다. 1년 8개월 만에 올림픽으로 무대에 복귀한 디온은 이번 공연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안겼다. 개최국 프랑스 선수단이 마지막으로 에펠탑 앞에 도착하면서 개회식은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다. 센강 위를 가로질러 온 ‘금속 말을 타고 질주하는 여인’이 에펠탑에 도착해 오륜기를 꺼냈고, 참가국 국기를 든 기수들이 그 뒤를 따라 에펠탑을 형상화한 단상에 오르자 올림픽 찬가와 올림픽 선서가 이어졌다. 이어 에펠탑 오륜기에 불빛이 들어오고 오륜기로부터 레이저 조명이 발사돼 전 세계인에게 연대의 메시지를 전했다. 토니 에스탕게 조직위원장은 “파리는 올림픽을 사랑하기에 다시 돌아올 여러분을 100년 동안 기다렸다”면서 “올림픽을 통해 모든 인류가 어울려 함께 사는 게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토마스 바흐 위원장은 “특별한 방법으로 우리를 환대해 줘서 감사하다”며 “우리는 파리와 큰 사랑에 빠지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포용적이고 혁신적인 도시에서 완전한 평등을 실현한 최초의 올림픽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2024 파리 올림픽 개막 나흘째인 29일 올림픽 성화가 프랑스 파리 카루젤 광장 앞 튈르리 정원 상공에 떠올라 파리 도심을 밝게 비추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전 세계인들의 가장 큰 관심을 받은 성화는 창의적인 점화 방식과 신선한 봉송 주자들로 기대를 충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먼저 프랑스 최고의 축구 스타 지네딘 지단이 등장해 성화를 들었고 이어 테니스 스타 라파엘 나달(스페인)에게 전달했다. 나달은 프랑스에서 열리는 메이저 테니스 대회 ‘롤랑가로스’의 지배자였다. 나달이 성화를 받자 트로카데로 광장은 소등 된 뒤 파리를 상징하는 에펠탑에서 빛이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이후 나달은 세레나 윌리엄스(미국·테니스), 나디아 코마네치(루마니아·체조), 칼 루이스(미국·육상)와 함께 보트를 타고 센강 위를 달렸고 프랑스 테니스 스타 아멜리 모레스모에게 성화를 넘겼다. 모레스모를 시작으로 프랑스 스포츠를 대표한 토니 파커(농구), 미카엘 기구(핸드볼) 등을 거친 성화는 올림픽에서 3차례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마리-호세 페렉(육상)과 테디 리네르(유도)에게 전해졌다. 둘은 준비된 열기구에 불을 붙였고, 열기구는 30미터 상공으로 솟아올라 파리 시내를 밝혔다. 열기구를 성화대로 쓰고 있는 이 불꽃은 대회가 막을 내리는 8월 11일 꺼진다. #대한민국#선수단#파리올림픽#수상입장식#프랑스#파리#www.sisaknews.com시사k뉴스
    • 뉴스
    • 지구촌
    2024-08-01

실시간 지구촌 기사

  • Trump Warns of Severe Consequences if Middle East Hostages Are Not Released by January 20
    Trump Warns of Severe Consequences if Middle East Hostages Are Not Released by January 20 "중동 인질 석방 없으면 중대한 결과" 트럼프 경고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2.03 Former U.S. President and 2024 presidential candidate Donald Trump has issued a stark warning to those holding hostages in the Middle East, threatening unprecedented American military action if they are not released before January 20, 2025, the day he would assume office should he win reelection. Trump reiterated his warning on Truth Social, days after Hamas released a propaganda video featuring American-Israeli hostage Edan Alexander, 20, who pleaded for Trump to secure his release. In the video, Alexander’s plight was highlighted amidst escalating tensions following recent violence in the region. “Everybody is talking about the hostages who are being held so violently, inhumanely, and against the will of the entire World, in the Middle East – But it’s all talk, and no action!” Trump wrote. He did not directly mention Hamas or Israel but made his intentions clear regarding the perpetrators. Trump’s first public statement on this issue was during the Republican National Convention in July, but his latest post intensifies the rhetoric. “Please let this TRUTH serve to represent that if the hostages are not released prior to January 20, 2025, the date that I proudly assume Office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there will be ALL HELL TO PAY in the Middle East, and for those in charge who perpetrated these atrocities against Humanity,” he stated. He further warned, “Those responsible will be hit harder than anybody has been hit in the long and storied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LEASE THE HOSTAGES NOW!” This strong message underscores Trump’s characteristic hardline approach to foreign policy and comes amid ongoing international efforts to resolve the hostage crisis diplomatically. It remains unclear how his comments will influence the current administration’s strategies or affect negotiations in the region. "중동 인질 석방 없으면 중대한 결과" 트럼프 경고 미국의 전 대통령이자 2024년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중동에서 인질로 억류된 사람들이 2025년 1월 20일, 자신이 대통령으로 취임하기 전에 풀려나지 않을 경우 전례 없는 미국의 군사 행동을 경고했다. 트럼프는 하마스가 미국-이스라엘 이중국적 인질 에단 알렉산더(20)의 선전 영상을 공개한 지 며칠 만에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이 같은 경고를 다시 한 번 밝혔다. 해당 영상에서 알렉산더는 트럼프에게 자신의 석방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트럼프는 "중동에서 전 세계의 의지에 반해 잔혹하고 비인도적으로 억류된 인질들에 대해 모두가 이야기만 하고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하마스나 이스라엘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가해자들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드러냈다. 트럼프는 이번 사안에 대해 처음으로 입장을 밝힌 것은 지난 7월 공화당 전당대회에서였다. 그러나 이번 발언에서는 경고의 수위를 더욱 높였다. 그는 “이 글이 2025년 1월 20일, 내가 자랑스럽게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기 전에 인질들이 석방되지 않는다면, 중동에서 '모든 지옥이 쏟아질 것'이며, 인류에 반하는 이러한 잔혹 행위를 저지른 자들에게 중대한 대가가 있을 것임을 알리는 경고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책임자들은 미국의 길고 유서 깊은 역사 속에서도 누구보다 강력한 타격을 받을 것이다. 지금 당장 인질들을 석방하라!”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이번 강경 발언은 그의 특유의 강경한 외교 정책 접근 방식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 이는 현재 정부의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해당 지역에서 진행 중인 외교적 협상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는 불확실하다. #TRUMP#인질#석방#대통령#취임식#시사k뉴스#외교정책 #East Hostages#www.sisaknews.com Hostages#www.sisaknews.com
    • 뉴스
    • 지구촌
    • 미국/북중미
    2024-12-03
  • Will K-Nuclear Power Lead the Global Nuclear Renaissance?
    Will K-Nuclear Power Lead the Global Nuclear Renaissance? K-원전, 세계 원자력 르네상스의 중심으로 도약할까? 기후위기 시대, 원자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1.18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nuclear power is once again in the spotlight. TIME magazine, in its July 2020 cover story titled "One Last Chance," warned of the severity of the climate crisi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humanity to deploy every possible measure. The following year, the European Commission included nuclear power as a climate crisis response measure by revising its taxonomy to classify it as a sustainable energy source. Against this backdrop of global energy transition, the role and prospects of Korean nuclear power (K-Nuclear) are receiving renewed attention. The European Union (EU) initially excluded nuclear power from its 2020 Green Deal, a comprehensive policy for sustainable growth. However, just two years later, it made a pivotal decision to include it, acknowledging that achieving carbon neutrality would be challenging without nuclear energy. In June 2022, The New York Times highlighted this shift by reporting on the "nuclear renaissance," signaling the reemergence of nuclear power as a key solution to the climate crisis. K-Nuclear's Competitive Edge K-Nuclear is gaining recognition in the global nuclear market for its technological strength and reliability. Notably, South Korea successfully completed the Barakah Nuclear Power Plant project in the UAE, demonstrating its safety and efficiency on the international stage. Technological Expertise: South Korea possesses world-class nuclear design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Cost Competitiveness: Korean nuclear plants maintain high efficiency and stability while having comparatively lower construction and operational costs, giving them a competitive edge in the global market. Expanding Global and Domestic Opportunities South Korea is actively seeking to expand cooperation with countries in Eastern Europe, Southeast Asia, and Africa, where the need for nuclear energy is growing. As global demand for nuclear power rises, K-Nuclear has the potential to expand its market, leveraging its proven technology and trustworthiness. Domestically, nuclear power is recognized as a vital energy source for achieving stable power supply and carbon neutrality. Its role in complementing the intermittency of renewable energy is particularly significant, suggesting an even greater reliance on nuclear power in the future. Challenges to Overcome Despite the resurgence of nuclear power, several challenges remain: Nuclear Waste Management: Handling and long-term storage of spent nuclear fuel continues to be a contentious issue. Ensuring Safety: Ongoing safety concerns, exacerbated by the Fukushima disaster, remain a barrier to gaining public acceptance. Balancing Renewables: While nuclear power is now recognized as sustainable, policies must strike a balance between it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K-Nuclear: At the Heart of Global Energy Transition As the world faces a climate crisis and energy transition, K-Nuclear is poised for new opportunities. By capitalizing on its technological excellence and reliability, South Korea can strengthen its foothold in the global nuclear market and solidify its role as a stable energy supplier domestically. However, addressing challenges such as safety, waste management, and social consensus is essential for its long-term success. K-Nuclear is ready to play a pivotal role at the center of the global energy transition. #K-원전#탄소중립#르네상스#대한민국#시사k뉴스
    • 뉴스
    • 지구촌
    2024-11-18
  • K-문학의 쾌거,재미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해외문학상) 거머쥐다.
    K-문학의 쾌거,재미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해외문학상) 거머쥐다.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0.12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에 뒤이어 재미작가 김주혜가 '작은 땅의 야수들'로 톨스토이 문학상 해외문학상 수상이라는 멋진 소식이 들려왔다.김주혜 작가는 2024년 러시아 톨스토이 문학상(야스나야 폴랴나상) 해외문학상을 수상한 한국계 미국 작가다.일명 톨스토이 문학상이라고 불리는 야스나야폴랴나상은 톨스토이 탄생 175주년인 2003년 삼성전자 러시아 법인이 러시아의 '레프 톨스토이 박물관'과 함께 제정한 상으로 러시아 최고 권위의 문학상으로 평가받는다.그녀의 장편소설 "작은 땅의 야수들"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반도에서 투쟁했던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투쟁을 그린 작품으로, 역사와 인간성을 깊이 있게 탐구한 내용이다.이 소설은 세계적인 문학계에서도 주목받으며, 특히 러시아 심사위원들은 이 작품을 톨스토이의 작품과 비교할 만큼 높이 평가했다.김주혜는 독립운동가였던 외할아버지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아 이 작품을 완성했다고 밝혔으며, 작품 속에서 한국의 역사와 정체성을 표현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특히 한국 문화에서 호랑이를 독립의 상징으로 사용한 점이 눈에 띄며, 그녀는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세계에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고 소감을 전했다.K-문학이 세계인들의 마음을 훔치고 있다.겹경사이며 쾌거다.K-Literature Triumphs: Korean-American Author Joo-Hye Kim Wins Tolstoy Literary Award (International Category)Following the recent Nobel Prize win by author Han Kang, Korean-American writer Joo-Hye Kim brings more exciting news, winning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Award of the Tolstoy Literary Prize with her novel, Beasts of a Small Land.Joo-Hye Kim, a Korean-American author, was honored with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Award at the 2024 Yasnaya Polyana Literary Prize, known as the Tolstoy Literary Award. This prestigious award, established in 2003 to mark the 175th anniversary of Tolstoy's birth, is a collaboration between Samsung Russia and the Lev Tolstoy Museum.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literary prizes in Russia.Her novel 'Beasts of a Small Land' is se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nd portrays the struggles and lives of ordinary people fighting for freedom. The work delves deeply into both history and the human condition, earning widespread recognition in the global literary community. Russian judges were particularly impressed, even comparing her work to that of Tolstoy himself. Kim revealed that she drew inspiration for the novel from her grandfather,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and she made a significant effort to depict Korea’s history and identity through the story. The novel also features the Korean tiger as a symbol of independence, showcasing elements of Korean culture and history to a global audience.K-literature is capturing the hearts of readers worldwide—this is a double triumph and a monumental achievement. #Beasts of a Small Land#김주혜#톨스토이문학상해외문학상 #레프톨스토이박물관#작은땅의야수들#시사k뉴스
    • 뉴스
    • 지구촌
    • 미국/북중미
    2024-10-12
  • 홈으로 뉴스 정책뉴스 콘텐츠 영역 공유열기 공감수 28 댓글수(클릭시 댓글로 이동) 1 ‘한국 전통문화’ 파리에서 통했다…“외국인들, 홀린 듯 몰려와”
    대회 막바지를 향하고 있는 ‘2024 파리 하계올림픽’에서, 한국은 펜싱, 양궁, 사격, 배드민턴, 태권도 등 스포츠사에 새로운 신화를 쓰며 기대 이상의 고공비행을 하고 있다. 케이(K)-스포츠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등 한류 행사에서도 금메달급이라는 호평이다. 특히 파리 현지 ‘코리아하우스’ 내 전통문화 전시 <댓츠 코리아: 시간의 형태>는 지극히 한국적인 공간과 작품들로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정책브리핑’은 이번 전시를 기획한 김민경 예술감독과 서면 인터뷰를 통해 현지 분위기를 느껴본다. 올림픽 축제 열기로 가득한 파리 시내 7구에서 한류 문화의 원류라 할 수 있는 ‘한국 전통문화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달 25일 코리아하우스 개관과 동시에 심장부인 중앙홀을 중심으로 한복, 한지, 한식(소반) 등을 소재로 한 <댓츠 코리아(THAT’S KOREA): 시간의 형태> 전시가 개최 2주 만에 관람객 4만 5000명을 돌파하며 흥행 중이다. 전시 <댓츠 코리아(THAT’S KOREA): 시간의 형태>는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부터 현대 작가까지 총 17명(팀)이 참여해 한복과 달항아리, 소반, 누비 등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원형과 창조적 변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3개의 공간으로 나눠 표현했다. 파리 현지인과 외국 관광객들은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역사적 가치를 품고 변화해 온 한국 전통문화의 유연성에 주목하며 시간의 형태 속에 빚어진 작품에 완전히 매료됐다. 전시 <댓츠 코리아(THAT’S KOREA): 시간의 형태>는 문을 연지 2주 만에 관람객 4만 5000명을 돌파하며 흥행 중이다. 이번 전시는 ‘한국에는 있고’, ‘프랑스에는 없는’ 콘텐츠로 구성돼 모든 콘텐츠가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다. 이번 전시를 총괄한 김민경 예술감독은 “문화는 다르지만 한 공간에 함께 공존해도 어색하지 않은 것이 문화이기 때문에 그 문화의 힘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매력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연출했다”고 말했다. 문화적 조우를 통해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적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신경을 쓴 것이다. 이를 위해 김 감독은 ‘통일성’과 ‘유연성’ 부분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각기 다른 3개의 방의 현재의 공간을 최대한 훼손하거나 변형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전시를 하도록 색상과 크기를 분석한 후 전체적인 통일성을 지키기 위해 한국식 가구를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골드와 연한 파랑, 어두운 각 방의 색상에 어울리는 먹색과 흰색 가구 위에 자개를 입혀 한국식 가구로 프랑스 공간과 묘하게 융합되는 전체적인 분위기를 잘 살린 뒤 ‘원형(제1장 Salle 33) - 원형과 현재(제2장 Salle 34) - 원형의 미래(제3장 Salle 69)’의 순으로 작품들을 배열했다. 김민경 예술감독이 가장 신경 쓴 마지막 전시 공간 ‘원형의 미래(제3장 Salle 69번)’에서 국가무형유산 누비장 故김해자 장인의 ‘손누비 장옷’을 소개하고 있다. 김 감독이 가장 신경 쓴 곳은 마지막 전시 공간인 ‘원형의 미래(제3장 Salle 69번)’이다. 이곳에서는 이번 올림픽 전시를 앞두고 작고한 국가무형유산 누비장 故김해자 장인의 ‘손누비 장옷‘을 볼 수 있다. 김 감독은 “평소 선생님께서는 한국의 복식 문화가 세계에 많이 알려져 누비옷이 글로벌 명품 반열에 오르길 바라셨다”며 “그 뜻을 고스란히 담아 전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누비의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사실 김 감독은 한류 바람이 불기 시작한 1990년 후반부터 한국 전통문화의 진수를 관람객들에게 알리고 싶었다. 김 감독은 “평범한 전시 형태나 구성에서 벗어나 K-문화의 교두보 역할을 하기 위해 고급 콘텐츠와 세련된 구성으로 올림픽에서 다 함께 즐기고 나눌 수 있는 문화 기반의 올림픽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파리올림픽 기간 오랜 염원의 뜻이 빛을 발하고 있다. 이제 한국 문화는 ‘변방’이라는 키워드 보다 ‘메인’이라는 키워드로 설명하기에 적절할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다. 예술의 도시 파리 한복판에서 한국 전통문화 전시의 열기는 지칠 줄 모르고 있다. 김 감독은 “외국인들이 무언가 홀린 듯 69번 공간으로 들어가 한국 음악과 결합된 미디어아트 작업을 보고 신기한 듯 한참을 감상한다”며 뿌듯해 했다. 다음은 김민경 예술감독과의 일문일답. ◆ 한국전통문화 전시 ‘댓츠 코리아: 시간의 형태’는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부터 현대작가까지 총 17개 팀(명)이 참여해 공간을 3개로 나눠 전시하고 있는데요, 소개 부탁드려요. <형태의 시작>, <오늘의 형상>, <원형의 미래>라는 3개의 공간으로 나눠 역사적 가치를 품고 변화해 온 ‘한국 전통문화’의 유연성에 주목하며 시간의 형태 속에 빚어진 작품들로 구성했습니다. 먼저 제1장 Salle 33은 <형태의 시작>으로 달항아리, 궁중채화 및 한복 등 전통의 원형을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전시 공간 중앙에는 한국 정체성의 아이콘이라 불리는 ‘달항아리’와 궁중에서 큰 행사나 좋은 일이나 경사스러운 날에 빠지지 않았던 ‘궁중채화’를 통해 올림픽 선수를 응원하고 승리를 염원하는 마음을 담아 새롭게 제작했습니다. 이와 함께 평면적 구성과 곡선의 미학을 담은 우리나라 전통 한복인 ‘답호(남자)’와 ‘당의(여자)’ 그리고 프랑스 공간에 어울리는 색상으로 사대부 여성의 대표적인 예복인 ‘원삼’을 재현했습니다. 전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약 270년 만에 화협옹주 묘에서 출토된 재현 전통 화장품과 다양한 전통 장신구를 함께 전시했습니다. 3개의 공간으로 나눠 ‘한국 전통문화’를 조명한 전시 <댓츠 코리아(THAT’S KOREA): 시간의 형태>의 작품들. 제2장 Salle 34는 <오늘의 형상>으로 소반과 한지를 이용한 작품을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한국의 식문화를 담고 있는 소반은 지역마다 특색이 다르지만, 이번 전시에서는 전통 나주 소반과 지속 가능한 소재를 적용한 현대식 투명 소반 그리고 전통 한지로 연출한 ‘한지꽃’, 한지에 옻칠과 금속 프레임을 활용한 현대적 ‘한지 조명’을 선보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제3장 Salle 69는 <원형의 미래>로 전통 누비와 미디어아트를 소개하는 공간입니다. 누비는 예부터 옷감을 보강하거나 보온을 위해 겉감, 안감 사이에 솜이나 털 등을 넣거나 아무것도 넣지 않고 안팎을 줄지어 규칙적으로 홈질해 맞붙이는 손바느질로, 바늘땀의 간격이 0.3㎝, 0.5㎝, 1.0㎝ 이상으로 구분될 정도로 섬세하고 정교한 작업입니다. 특히 이번 올림픽 전시를 앞두고 작고하신 국가무형유산 누비장 故김해자 장인의 마지막 유작인 0.3cm로 손바느질 한 ‘손누비 장옷’을 공개함으로써 누비에 대한 철학과 아름다움을 전 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했습니다. 또 이러한 미래의 원형이 되는 작업의 형태와 시간을 미디어아트 그룹 사일로랩의 ‘Kinetic lighting Installation’ 작품을 통해 한국적인 음악에 맞게 조명과 움직임을 이용한 미디어아트로 형상화하기도 했습니다. ◆ 처음에 어떤 기획 의도로 이번 전시를 만들게 되었을까요? 한류 바람이 불기 시작한 1990년 후반부터 한국 문화의 원류라 할 수 있는 한국 전통문화의 진수를 찾아오는 관람객들에게 깊이 있고 다양한 콘텐츠를 알리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올림픽과 같은 국제 스포츠 행사에서는 코리아하우스 내 문화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지 않았습니다. 구성만 보더라도 문화적인 면보다는 단순히 축하 공연이나 이벤트성 전시, 체험 행사로 진행돼 체육인들의 교류의 장으로서 역할이 컸습니다. 이제 코리아하우스를 찾아오는 관람객들은 단순히 올림픽만 즐기기보다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열망이 높아져 제대로 향유하고 있습니다. 한국 문화는 이제 더 이상 변방의 문화로 치부되지 않으며 예술의 도시 프랑스에서 당당한 주류 문화로 거듭나고 있고 그 현장을 똑똑하게 목격하고 있습니다. 이에 발맞춰 평범한 전시 형태나 구성에서 벗어나 K-문화의 교두보 역할을 하기 위해 고급 콘텐츠와 세련된 구성으로 스포츠 올림픽에서 다 함께 즐기고 나눌 수 있는 문화올림픽으로의 도약을 기대합니다. ◆ 전시를 준비하면서 가장 신경 쓴 곳과 어떤 생각을 많이 하셨는지요. 가장 신경 쓴 곳은 마지막 전시 공간인 ‘제3장 Salle 69번’입니다. 국가무형유산 누비장 故김해자 장인께서 평소 말씀하신 ‘한국의 복식 문화가 세계에 많이 알려져 누비옷이 글로벌 명품 반열에 오르길 바란다’는 뜻을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싶었습니다. 이에 선생님의 마지막 유작인 0.3cm로 손바느질한 ‘손누비 장옷’을 볼 수 있는 귀한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아울러 이번 올림픽은 친환경·저탄소 올림픽이라고 강조한바, 이에 동참하기 위해 ‘제2장 salle 34번’에서 하지훈 작가의 현대식 소반을 폐플라스틱으로 만들었습니다. 김민경 예술감독이 전통 나주 소반과 지속 가능한 소재를 적용한 현대식 투명 소반을 설명하고 있다. 가장 많이 고민한 것은 코리아하우스 내 전시 공간에 대한 연출 부문입니다. 한국 전통문화의 원형과 그것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 그리고 이것을 미래적으로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에 대해서 말이죠. 문화는 다르지만 같은 공간에서 공존해도 어색하지 않은 것이 문화입니다. 그 문화의 힘으로 사람들을 편안하게 한국 전통문화의 매력으로 인도하고 싶었습니다. 따라서 전형적인 프랑스 건물 내 각기 다른 3개의 공간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라는 카테고리를 유연하고 통일성 있게 연출하고자 했습니다. 문화적 조우를 통해 한국과 프랑스의 문화적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골드와 연한 파랑, 어두운 각기 다른 3개의 공간 색깔에 맞춰 먹색과 흰색 가구 위에 자개를 입히고 프랑스 공간에 묘하게 어울리는 한국식 가구로 전체적인 분위기를 연출한 뒤 각 방을 ‘원형 - 원형과 현재 - 원형의 미래’ 순으로 배열했습니다. 한국실로 짠 ‘춘사가리개’ 또한 한국식 좌대와 쇼케이스와 같은 작품은 전면에 잘 보이게 배치한 반면, 그 외 각 공간 사이의 출입문에는 한국실로 짠 ‘춘사가리개’를 달아 조심스럽게 가리개를 걷고 그 방을 진입해 한 템포 쉬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도했습니다. ◆ 전시를 볼 때 가장 눈여겨볼 공간(전시) 소개와, 처음 한국 전통문화 전시를 보는 관람객들께 어떤 포인트를 중심으로 보면 좋을지도 알려주세요. 전시를 준비한 입장에서는 모든 공간이 특색이 있고 다 눈여겨볼 만합니다. 특히 이번 전시는 ‘한국에는 있고’, ‘프랑스에는 없는’ 콘텐츠로 구성했기 때문에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시 순서는 ‘원형의 시작 - 원형과 현재 - 원형과 미래’로 구성했고 관람객 개개인의 발걸음이 멈추는 그곳에서 집중해 관람하길 추천합니다. ◆ 이번 전시 기간 기억에 남는 관람객이 있을까요? 공간마다 특색이 달라서 한 명을 꼽기보다는 공간마다 반응이 어땠는지 이야기하겠습니다. 우선 메인 중앙홀에 위치한 ‘Salle 33번’ 전시 공간은 구조상 사람들의 이동이 가장 많으며 혼자 또는 둘이 오는 관람객들이 작품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편입니다. 외국인 관람객들은 한복과 장신구, 화장품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한복은 프랑스에 없는 평면 디자인라는 점에서 자세히 관찰하고 대부분 포토존에서 인증 사진을 찍는 걸 봤습니다. 여자들은 아무래도 의상과 보석, 화장품에 관심이 많다 보니 안내원의 설명을 듣고 판매처를 묻는 외국인들도 상당히 많았습니다. ‘Salle 34번’ 방은 전통소반과 현대식 소반, 한지꽃, 한지 조명이 있는 전시 공간으로 테이블 문화에 익숙한 외국인들이 작은 소반에 감탄하고 폐플라스틱이라는 친환경 소재를 활용해 만든 소반이라는 것을 알고 한 번 더 놀라며 흥미로워했습니다. 전시 ‘댓츠 코리아: 시간의 형태’ 중 마지막 전시 공간인 제3장 Salle 69 <원형의 미래> ‘Salle 69번’ 방의 경우 더운 날씨에 유일하게 줄을 서는 방입니다. ‘한국적인 음악과 정서가 잘 나타나져 있는 것 같다’는 평이 주를 이뤘으며 故김해자 선생님에 대한 해설을 듣고 많은 관람객이 경이로움과 감탄했습니다. 사일로랩의 미디어아트를 3~4번 조용히 감상하고 가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이 밖에도 ‘색다른 경험이었다’, ‘음악에 이끌려 이 공간으로 들어왔다가 너무 충격적인 작업을 관람하게 됐다’는 반응과 ‘여기에 사용된 음원은 어디서 살 수 있나요?’, ‘이 작업의 작가는 누구인가요?’ 등의 질문들도 있었습니다. ◆ 이제 전시 기간이 절반 이상 지나갔습니다. 처음 기획하신 의도대로 외국인 관람객들에게 잘 전달되었는지요.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놀라울 정도로 현지 반응은 뜨겁습니다. 처음에는 개관한 날(7월 25일)과 대한민국의 날(8월 1일) 행사까지 마무리하고 귀국할 예정이었으나, 현장 반응이 좋아 취재 요청이 많이 들어와서 마지막 날까지 파리에 있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느 코리아 하우스와는 다른 성격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문화예술의 중심인 파리에서 한국의 전통문화를 제대로 보여주기 위해 정해진 공간 안에 최대한 조화로운 콘텐츠를 구성한 것이 많은 관람객의 발을 잡는 요인이 된 것 같습니다. 무심히 지나갈 수 있는 공간에 안내 도우미의 설명을 듣고 가던 길을 멈추고 진중히 듣는 관람객의 모습에 여러 번 감동을 받았습니다. 외국인들이 무언가 홀린 듯 69번 공간으로 들어가 한국 음악과 결합된 미디어아트 작업을 보고 신기한 듯 한참을 감상하고 차분히 돌아서는 뒷모습도 인상적입니다. 프랑스에서는 볼 수 없는 작은 소반을 보며 신기해하고 한지로 조명을 재해석해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외신 기자들도 다른 나라 홍보관에 비해 코리아하우스의 수준이 다르다며 취재진들의 열띤 관심을 받았습니다. 비단 외국인과 외신 기자들뿐 아니라 선수들도 다녀갔는데, ‘체육인이지만 한국 문화를 여기서 배운다’, ‘작품 관람 후 기대 이상으로 기분이 너무 좋다’ 등의 호평이 연일 이어졌습니다. ◆ 올림픽 기간 파리 시내에서 한복, 한지, 한식 등 한국 전통문화를 전시하시면서 감회가 새로우시겠어요. K-문화의 위상을 여실히 느끼셨을 텐데요. 전 세계적으로 K-문화의 입지와 위상이 많이 올라가 높아진 것은 사실입니다. 이번에도 코리아하우스 내에서 한국 문화를 접하고 한국에 놀러 가고 싶다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한국 전통문화를 알리기에 아직도 아쉬운 점은 있습니다. 이번 올림픽처럼 각 기관이 협력해 다양한 행사를 ‘같이’ 하다 보면 시너지 효과가 분명히 있습니다. 앞으로는 올림픽이 스포츠를 넘어 문화를 기반으로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고 가장 한국스러운 전통문화를 현재 그리고 미래에 맞춰 융화시켜 전 세계가 한국 문화를 누리는 날이 머지않아 올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 뉴스
    • 지구촌
    • 유럽
    2024-08-11
  • “파리 한복판서 케이팝과 떡볶이를”…파리지엔, 한국에 푹 빠졌다
    최근 한국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는데, 파리하계올림픽 때 또 한번 한국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바로 파리 시내 7구에 문을 연 ‘코리아하우스’를 방문해서다. 한국을 직접 가지 않고도 한국의 음식과 전통문화, 케이 팝 등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을 생각만 해도 설레었다. 프랑스 파리 시내 7구에 위치한 ‘메종 드 라 시미(Maison de la Chimie)’에서 운영되는 ‘코리아하우스’ 외관 모습. 코리아하우스가 설치된 파리 시내 7구 ‘메종 드 라 시미(Maison de la Chimie)’는 파리의 상징인 에펠탑 인근에 위치한 곳이라 항상 외국인 관광객들로 북적인다. 나는 코리아하우스 개관식이 있는 25일(현지시간) 방문했는데. 이미 많은 사람들이 한국의 맛과 멋을 즐길 준비를 하고 있었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고풍스러운 한국의 전통문화가 그대로 반겨줬다. 코리아하우스에서 가장 처음 참여한 홍보관은 한국 관광지에서 사진을 찍는 콘셉트로 한국관광공사가 선보인 ‘내 별자리에 맞는 관광지’이다. 정말 흥미로웠다. 강릉, 부산, 전주 등 지역별 주요 관광지를 배경으로 즉석사진을 찍을 수 있다. 추천 받은 행사 3개 중에 ‘보령머드축제’가 있었는데, 다음에 꼭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코리아하우스 ‘내 별자리에 맞는 관광지’ 홍보관에서는 한국의 관광명소 등을 배경으로 스티커 사진을 찍어 추억을 남길 수 있다. 개관식, 정부·문화·예술계 전 세계인 참석…“지금 파리는…K-컬쳐 푹 빠져” 이날 개관식에는 정부 대표를 비롯해 외교관, 예술가, 문화계 인사 등 전 세계인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비롯해 감동적인 예술가의 연설까지, 성공적이었다. 한국어로 진행돼 모두 알아들 수는 없었지만 함께 참여한 프랑스 친구들도 만족스러워 했다. 7월 25일 ‘코리아하우스 개관식’ 기념 공연 모습 개관식에서 가장 큰 볼거리는 한복 체험 등 K-전통 문화를 비롯해 끊임없이 새로워지는 한국 예술의 창의성을 모두 조명한 것이었다. 농식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이 지정한 파리 지역 우수 한식당 5곳(인순그릴, 이도, 종로삼계탕, 마시타, 삼부자)과 CJ제일제당 퀴진케이영셰프 6인이 함께 참여해 전통 한국 음식을 개발한 ‘한식뷔페’를 선보였다. 한식 뷔페에서는 한국 요리의 고급스러움과 파리의 멋을 같이 선보여 환상적인 퓨전 그 자체였다. ‘CJ그룹관’에서 한국의 영화, 드라마, 음악, 예능 등의 인기를 느낄 수 있다. CJ그룹관도 정말 흥미로웠다. K-팝과 K-콘텐츠, K-푸드 등 K-컬쳐 세상에 푹 빠질 수 있었다. 한국의 영화, 드라마, 음악, 예능, 뷰티 등의 인기를 느낄 수 있었던 이번 여행은 풍성하고 훌륭했다. ‘자드’ 한국어학과 대학생, 코리아하우스 스태프 코리아하우스 정원에서 개관식을 바라보고 있는 프랑스인 대학생 자드를 만났다. 자드는 “코리아하우스에 방문한 한국 선수들을 직접 볼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며 15개의 홍보관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즐기며 한국 문화를 경험했다고 말했다. ‘비비고 시장’에서 떡볶이와 만두, 핫도그, 주먹밥, 김치 등 K-푸드를 먹어볼 수 있다. 그는 ‘내 별자리에 맞는 한국 관광지’와 ‘포토박스’를 가장 재미있게 즐겼다. 특히 “동료들과 ‘비비고 시장’에서 떡볶이와 만두, 핫도그, 주먹밥, 김치 등 K-푸드를 먹어봤는데 예상했던 대로 정말 맛있었다”며 엄지척을 들었다. ‘마리’ 한국학과 대학생, 전통문화존 스태프 코리아하우스 1층에 있는 전통 예술품을 전시하는 ‘전통문화존’에서 마리를 만났다. 마리는 올림픽 기간 동안 이곳에서 전시품을 지키며 한국 전통 예술품을 방문객에게 소개하는 일을 하고 있는 프랑스인 한국학과 대학생이다. 개관 첫날이라 그런지, 마리 또한 한복과 한지, 한식 등 한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역사를 체험하는데 푹 빠져 있었다. 마리는 “친구들과 함께 와서 포토존에서 사진을 많이 찍었다”며 “공모전에 참여해 선물도 받을 수 있어서 즐겁다”고 소감을 전했다. 코리아하우스 입구에 국가대표 선수단 사진, 경기 결과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대한체육회존’ 코리아하우스 입구에 들어서면 대한체육회의 연혁 등을 소개하는 ‘대한체육회존’이 있다. 한국 선수단의 올림픽 주요 결과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다. K-팝 문화 속 여행에서 사진 촬영을 빼놓을 수 없다. 코리아하우스에도 국가대표 선수, K-팝 아이돌, 한국의 관광명소 등을 배경으로 스티커 사진을 찍어 추억을 남길 수 있는 ‘포토이즘 존’이 있다. ‘문화와 관광존’에서는 영상에서 봤던 한복을 입어 볼 수 있어 입고 기념 촬영을 했다. 프랑스인 마리는 한복을 처음 입어 본다며 즐거워 했다. 정원에 들어서면 한국 전통시장의 무대를 연상시킨다. 특히 한국 여행하면 놓칠 수 없는 포장 마차에서 즐겨 먹는 만두와 떡볶이 등 한국 음식과 함께 시원한 카스 맥주 한 잔을 맛볼 수 있다. 초대형 화면에서는 한국 선수단의 경기가 상영되고 있다. 마리는 “코리아하우스는 어디를 가든 항상 즐겁고 흥미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면서 “정기 부스뿐만 아니라 임시 프로그램도 있어 홈페이지에서 일정을 확인하고 입장권을 예매해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외국인들이 ‘카스포차’에서 한국 음식과 함께 시원한 맥주 한 잔을 하고 있다. 한국의 위상 재확인…문화 개방과 국제 교류 상징 이번 코리아하우스 개관을 계기로 세계 문화 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을 재확인했다. 올림픽 기간 동안 파리 시내 한복판에서 방문객들은 풍성한 행사를 통해 한국의 전통 문화부터 현대 문화까지 모두 경험해 볼 수 있다. 한국의 과거와 현재가 만나 쌍방향 문화를 소개하는 장소가 될 것이다. 한국 문화 홍보관으로 스포츠, 예술, 전통 문화, 관광, 음식 콘텐츠를 알리는 동시에 국내외 예술가·작가, 선수와 팬들 간의 만남의 장으로 역할을 다할 것이다. 문화 개방과 국제 교류의 상징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 이 기사는 프랑스 현지에서 랑뚜 오니리나(Lantou Onirina) 코리아넷 명예기자의 체험기를 바탕으로 편집한 내용입니다. 코리아넷은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대한민국의 정부 정책과 문화, 역사,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다국어 기반 웹사이트이며, 세계 각국의 명예기자를 위촉, 운영하고 있습니다. *편집자 주‘2024 파리 하계올림픽’이 지난 7월 26일(현지시간) 17일간의 대장정의 막을 올렸다. 한국은 파리 현지에 ‘코리아하우스’를 개관해 케이(K)-스포츠뿐만 아니라 K-문화, K-예술 콘텐츠를 전 세계에 알리며 초반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파리 시민이자 코리아넷의 명예기자이기도 한 랑뚜 오니리나(Lantou Onirina)가 보내온 코리아하우스 체험기를 통해 ‘외국인이 본 파리 속 한국’을 생동감 있게 전달한다. #파리하계올림픽#코리아하우스#k스포츠#k문화#k예술#콘텐츠#시사k뉴스www.sisaknews.com
    • 뉴스
    • 지구촌
    2024-08-04
  • 100년 만의 ‘파리올림픽’…충격과 신선함, 아름다움 자체였다
    올림픽 성화가 100년 만에 프랑스 파리로 돌아왔다. 스포츠는 그 100년의 시간 동안 하나의 거대한 문화이자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각본 없는 드라마는 그렇게 예술이 됐고, 예술의 도시 파리에서 이를 가감 없이 펼쳐 보였다. 선수단 입장부터 성화 봉송과 점화까지, 모든 것이 충격이었고 신선했으며 아름다웠다. ‘2024 파리올림픽’ 개회식이 지난 26일 파리 센강(La Seine)과 에펠탑 일대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개회식 당일 낮부터 파리는 달아올랐다. 대형 스크린이 설치된 파리 개선문 북동쪽 몽소 공원에서 만난 안나는 “개회식 장소인 센강 주변으로 사람이 몰릴 것 같아 몽소 공원에서 가족들과 개회식을 보기로 했다”며 “경기장이 아닌 강에서 열리는 개회식이 어떤 모습으로 연출될지 정말 기대된다”고 말했다. ‘완전히 개방된 대회(Games Wide Open)’를 슬로건으로 내건 2024 파리 올림픽은 그 시작을 128년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경기장이 아닌 외부, 그것도 파리를 가로지르는 낭만의 장소 ‘센강’을 택했다. 2024 파리 올림픽 개회식이 열린 26일 프랑스 파리 이에나 다리 인근에서 관중들이 각국 선수단의 센강 보트 행진을 관람하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각국의 선수와 관계자 6800여 명은 85척의 배에 나눠 타고 오스테를리츠 다리에서 출발해 노트르담 대성당, 루브르 박물관, 콩코르드 광장, 그랑 팔레 등 파리를 상징하는 장소를 지나 에펠탑 인근 트로카데로 광장까지 약 6㎞를 행진했다. 입장은 올림픽 발상지인 그리스가 첫 번째, 난민 선수단이 두 번째였다. 한국 선수단은 프랑스어 알파벳 순서에 따라 205개 참가국 중 48번째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때 장내 아나운서가 한국의 국명을 ‘북한’으로 소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직접 전화해 사과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에게는 사과 서한을 보냈다. 8년 만에 하계 올림픽 무대로 돌아온 북한 선수단은 포르투갈, 카타르와 한배를 타고 153번째로 입장했다. 대한민국 올림픽 선수단의 기수 우상혁(오른쪽)과 김서영이 26일 프랑스 파리 센강 일대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개회식에 참석하기 위해 배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번 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는 총 1만 500여 명이지만, 대회 일정 등으로 모든 선수가 개회식에 참석하진 않았다. 일례로 서핑 경기는 파리에서 1만 6000km 떨어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타히티섬에서 열려 서핑 선수들은 타히티에서 개회식을 지켜봤다. ☞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 확인하고 응원 댓글 이벤트 참여하기 배의 크기는 선수단 규모에 따라 소형부터 대형 유람선까지 다양했다. 선수단 규모가 작은 경우 입장 순서가 비슷한 나라들의 선수단이 함께 한배에 올랐다.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였지만 조직위원회 추산 30만여 명의 관중이 센강 주변에서 이를 지켜봤다. 현장에서는 오히려 비가 내려 운치를 더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함께 비를 맞은 선수들은 환영하는 전 세계인들을 향해 자국 국기를 흔들며 축제를 즐겼다. 파리 현지 시각 오후 9시가 넘어 해가 완전히 지자 센강 주변은 조명과 어우러져 더욱 아름다웠다. 26일 프랑스 파리 센강 일대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개회식중 선수들이 이동하는 콩시에르주리 앞에서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개회식을 더욱 빛낸 건 다양하고 화려한 공연들이었다. 조직위는 프랑스 조폐공사의 지붕, 센강변 계단, 다리, 부둣가, 광장 등 도시의 모든 곳을 무대로 활용했다. 먼저 팝스타 레이디 가가가 등장해 1961년 지지 장메르가 발표한 ‘깃털로 만든 내 것’이라는 원곡을 재해석한 공연을 선보이며 개회식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이후 프랑스의 록밴드 고지라와 오페라 가수 마리나 비오티가 혁명의 노래 ‘아 잘될 거야’를 자신들의 색깔에 맞춰 편곡해 불렀다. 프랑스에서 높은 인기를 자랑하는 아야 나카무라의 공연과 프랑스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알렉상드르 캉토로프의 피아노 연주가 개회식의 운치를 더했고, 프랑스 래퍼 림케이도 개회식에 등장해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다양한 음악과 함께 캉캉, 브레이크, 발레, 유로 댄스 등 여러 종류의 춤 공연과 패션쇼도 이어져 선수들의 흥을 높였다. 분위기가 절정이던 상황에서 파리를 물들인 건 존 레논의 대표곡 ‘이매진(Imagine)’이었다. 센강 위의 작은 표류물에서 프랑스 출신의 줄리엣 아르마네는 소피안 파마르가 불타는 피아노로 연주하는 이매진 반주에 맞춰 아름다운 목소리로 열창, 관중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로써 이매진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2020 도쿄 하계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이어 파리에서도 불리게 됐다. 셀린 디온이 26일 프랑스 파리 트로카데로 광장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개회식에서 사랑의 찬가를 부르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축하공연의 하이라이트는 셀린 디온의 몫이었다. 이미 개회식에 등장할 것이라는 기대가 컸던 디온은 성화가 점화된 뒤 에펠탑에서 사랑의 찬가를 열창, 선수와 관객들을 열광하게 했다. 디온은 지난 수십 년간 정상급 디바로 활동하다가 지난 2022년 12월 근육이 뻣뻣해지는 ‘강직인간증후군(SPS)’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을 했다. 1년 8개월 만에 올림픽으로 무대에 복귀한 디온은 이번 공연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안겼다. 개최국 프랑스 선수단이 마지막으로 에펠탑 앞에 도착하면서 개회식은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다. 센강 위를 가로질러 온 ‘금속 말을 타고 질주하는 여인’이 에펠탑에 도착해 오륜기를 꺼냈고, 참가국 국기를 든 기수들이 그 뒤를 따라 에펠탑을 형상화한 단상에 오르자 올림픽 찬가와 올림픽 선서가 이어졌다. 이어 에펠탑 오륜기에 불빛이 들어오고 오륜기로부터 레이저 조명이 발사돼 전 세계인에게 연대의 메시지를 전했다. 토니 에스탕게 조직위원장은 “파리는 올림픽을 사랑하기에 다시 돌아올 여러분을 100년 동안 기다렸다”면서 “올림픽을 통해 모든 인류가 어울려 함께 사는 게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토마스 바흐 위원장은 “특별한 방법으로 우리를 환대해 줘서 감사하다”며 “우리는 파리와 큰 사랑에 빠지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포용적이고 혁신적인 도시에서 완전한 평등을 실현한 최초의 올림픽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를 표했다. 2024 파리 올림픽 개막 나흘째인 29일 올림픽 성화가 프랑스 파리 카루젤 광장 앞 튈르리 정원 상공에 떠올라 파리 도심을 밝게 비추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전 세계인들의 가장 큰 관심을 받은 성화는 창의적인 점화 방식과 신선한 봉송 주자들로 기대를 충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먼저 프랑스 최고의 축구 스타 지네딘 지단이 등장해 성화를 들었고 이어 테니스 스타 라파엘 나달(스페인)에게 전달했다. 나달은 프랑스에서 열리는 메이저 테니스 대회 ‘롤랑가로스’의 지배자였다. 나달이 성화를 받자 트로카데로 광장은 소등 된 뒤 파리를 상징하는 에펠탑에서 빛이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이후 나달은 세레나 윌리엄스(미국·테니스), 나디아 코마네치(루마니아·체조), 칼 루이스(미국·육상)와 함께 보트를 타고 센강 위를 달렸고 프랑스 테니스 스타 아멜리 모레스모에게 성화를 넘겼다. 모레스모를 시작으로 프랑스 스포츠를 대표한 토니 파커(농구), 미카엘 기구(핸드볼) 등을 거친 성화는 올림픽에서 3차례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마리-호세 페렉(육상)과 테디 리네르(유도)에게 전해졌다. 둘은 준비된 열기구에 불을 붙였고, 열기구는 30미터 상공으로 솟아올라 파리 시내를 밝혔다. 열기구를 성화대로 쓰고 있는 이 불꽃은 대회가 막을 내리는 8월 11일 꺼진다. #대한민국#선수단#파리올림픽#수상입장식#프랑스#파리#www.sisaknews.com시사k뉴스
    • 뉴스
    • 지구촌
    2024-08-01
  • 3월 외국인 관광객 150만 명…코로나19 이전 97% 회복
    올해 3월 방한 관광객은 149만 2000명으로,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97.1% 회복하며 코로나19 이후 월별 회복률 최고치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외국인 관광객 약 340만 명이 한국을 찾아 코로나19 이후 분기 단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특히 3월 4주 한 주 간 방한 관광객은 약 33만 명을 기록하며 2019년 대비 회복률 100.2%로 코로나19 이전의 규모를 처음으로 완전히 회복했다. 한편 3월은 따뜻해진 날씨와 함께 벚꽃 개화 등 볼거리가 늘어나는 계절적인 요인을 비롯해 일본과 미주, 유럽의 봄방학 기간으로 방한 여행이 활발해지는 시기다. 아울러 지난 3월에는 서울에서 열린 미국 메이저리그 개막식 등 국제 행사 개최에 따라 일본, 미국 등 방한객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방문 외국인 관광객 월별 회복률(2019년 동월 대비) 올해 1분기 방한 관광객은 340만 3000명으로 2019년 1분기 384만 명 대비 88.6% 회복해 코로나19 이후 가장 높은 분기별 회복률을 기록했다. 특히 10대 주요 방한 시장 가운데 절반이 이미 2019년 같은 기간 대비 방한 규모를 넘어섰다. 이중 대만(30만 6000명, 108.8%), 미국(24만 4000명, 119.3%), 베트남(11만 명, 100.4%), 싱가포르(6만 8000명, 163.3%), 필리핀(10만 8000명, 109.3%) 등은 회복률이 100% 이상으로 이미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넘어 성장하고 있다. 중국·일본 등 성숙 시장의 회복도 두드러지는데 먼저 중국 시장은 101만 5000명이 방한하며 1분기 방한 관광객이 100만 명을 돌파했다. 중국은 지난해 2월에야 상대적으로 늦게 해외여행을 재개한 뒤 방한객이 지난해 201만 명을 기록한 것에 비교하면 고무적인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방한 1위를 기록한 일본 시장의 경우에는 1분기 66만 6000명이 방한했다. 특히 지난 3월 일본인 관광객은 34만 명으로, 오타니 쇼헤이 선수의 국내 메이저리그 개막전 출전과 봄방학을 맞이해 2월 18만 명 대비 2배 가까이 방문객이 증가했다. 21일 서울 구로구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2024 미국 메이저리그(MLB) 월드투어 서울시리즈 공식 개막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LA 다저스의 2차전 경기, 9회초 무사 1,3루 상황에서 파드리스 마차도가 스리런 홈런을 치고 있다.2024.3.21.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메이저리그 서울시리즈 개막 전 스페셜 게임을 앞둔 지난 3월 16일에는 일일 일본인 방한객 1만 3000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1분기 평균 일일 일본인 방한객 규모인 7300명의 2배 가까운 규모이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의 신한카드 외래객 카드 소비 데이터에 따르면 경기가 열린 구로구에서 2월 외국인 관광객 소비액이 7억 6000만 원에서 3월 18억 9000만 원으로 2.5배 확대돼 스포츠 등 대형행사의 관광산업 파급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미주·유럽 등 신흥시장도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는 24만 4000명이 방한한 미국 외에도 호주는 5만 1000명이 방한해 2019년 1분기 대비 146% 회복, 프랑스는 2만 7000명이 방한해 142% 회복, 독일은 3만 2000명이 방한해 130% 회복을 기록했다. 홍보지점을 설치해 새로운 방한 관광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이탈리아와 스웨덴의 방한 관광객은 지난해 1분기 대비 각각 42%, 41% 성장했다. 한편 한국관광 데이터랩의 케이티(KT) 외래객 방문자 이동 데이터를 활용해 체류 기간을 분석 결과, 미국인 관광객은 한국에 12~14일 머무르는 등 아시아 근거리 방한객의 평균 체류 기간(3~4일)보다 3~4배 이상 길게 한국을 여행했다. 일반적으로 장거리 여행객일수록 더 오래 머물고 더 많이 소비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지역 방문 때 중국인은 제주도, 미국인은 경기도 선호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중국인의 제주도 무비자 입국과 미국인의 비무장지대(DMZ) 등 평화관광에 대한 높은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방문의해 환영주간 첫날인 지난 26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 1터미널입국장에 외국인 관광객이 입국하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방한 외래객은 앞으로 일본 골든위크(4. 27~5. 6)와 중국 노동절(5. 1~5. 5) 기간 특수를 보이는 등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올해 10일의 징검다리 휴일 기간 한국을 찾는 일본인은 일일 1만 명, 모두 10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일본 여행사 에이치아이에스(HIS)의 집계에 따르면 크루즈 운항 등으로 일본인 관광객의 제주도 예약이 전년보다 1502.1% 증가해 제주도는 해외여행 목적지 중 전년 대비 성장률 1위로 나타났다. 오는 5월 1일부터 5일까지 중국 노동절 기간 한국을 찾는 중국인은 일일 1만 6000명, 모두 8만 명 내외로 예상된다. 항공편, 크루즈, 페리의 예약률이 모두 호조세로 개별 관광객의 비자 발급량 역시 2019년 수치를 넘겨 앞으로 방한객 성장을 예측케 했다. 이에 문체부는 방한 관광의 회복을 넘어 도약으로 이끌기 위해 방한시장 다변화에 박차를 가한다. 또한 중국·일본 등 성숙시장을 대상으로 주요 방한층인 2030여성 외에도 연령대 다변화와 성별 균형, 스포츠관광·교육여행 등 관광 콘텐츠 다변화를 추진하고, 빠른 성장세인 미주·유럽 등 신흥시장을 대상으로는 현지 밀착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 뉴스
    • 지구촌
    2024-04-29
  • K-라면 인기, 급상승 중…지난해 라면 수출액 역대 최대
    관세청은 지난해 라면 수출액이 9억 52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4.4%(1억 8700만 달러)로 증가해 9년 연속 최대 수출기록을 경신하고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수출은 전년대비 1억 8700만 달러 늘어 역대 최대 폭으로 증가하고 9년 연속 최대 수출 기록 경신을 이어갔다. 올해 1월 수출도 지난해보다 39.4% 늘어나 1월 기준 최대인 86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시내 마트에서 외국인이 라면을 고르고 있다.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라면 수출은 코로나19로 인한 간편식 수요로 2020년 큰 폭 증가한 이후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편한 한 끼 식사는 물론, K문화상품으로 세계시장에서 저변을 넓히고 있어 올해 10억 달러 수출과 10년 연속 수출기록 경신이 기대된다고 관세청은 전했다. 수출 금액은 2019년 4억 7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9억 5000만 달러로 늘었고 물량도 13만 7000톤에서 24만 4000톤으로 늘어 코로나19 이후 최근 4년 내 2배 증가했다. 수출액은 중형 휘발유 승용차 5만 3732대 수출분량이고 물량은 봉지면 20억 개(120g 포장 기준), 면발 길이로는 1억㎞로 지구를 2539바퀴 돌 수 있는 길이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22.6%로 가장 많았고 미국 13.3%, 네덜란드 6.4%로 뒤를 이었으며, 132개국으로 수출했다. 상위 3국을 포함한 절반이 넘는 73개국 수출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중국, 네덜란드 등 27개국은 코로나19 이후 해마다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경신할 정도로 세계시장에서 수출 역량이 강화되고 있다. 특히 유럽의 관문인 네덜란드로 수출이 코로나19 이후 8.7배 늘며 북미를 넘어 유럽이 아시아 버금가는 시장으로 떠올랐다. 유럽(3배↑), 북미(2배↑)는 물론, 아프리카 수출도 규모는 크지 않지만 6배가량 증가하는 등 모든 지역에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뉴스
    • 지구촌
    2024-03-01
  • "인술 펼치겠다"…고 이태석 신부의 제자들, 전문의 됐다
    "인술 펼치겠다"…고 이태석 신부의 제자들, 전문의 됐다 외과·내과서 전임의 과정 거친 뒤 고국서 의료 활동 영화 '울지마 톤즈'로 알려진 고 이태석 신부의 아프리카 남수단 두 제자가 한국 전문의 자격시험에 최종 합격했다. 인제대학교는 올해 제67차 전문의 자격시험 결과 2천727명의 신규 전문의가 배출됐으며, 합격자 중 이 신부의 제자인 토마스 타반 아콧(이하 토마스)과 존 마옌 루벤(이하 존)이 포함됐다고 24일 밝혔다. 이 신부의 권유로 한국에서 의사가 되는 길을 걷게 된 토마스와 존은 2009년 수단어린이장학회 도움으로 공부를 시작했다. 이들이 한국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이 신부는 대장암으로 선종했다. 하지만 두 사람은 의사가 돼 고국으로 돌아가겠다는 꿈과 이 신부의 정신을 이어가고자 계속 공부에 매진했고 2012년 이 신부의 모교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했다. 타국에서 열심히 어학과 의학을 익힌 토마스와 존은 각각 83회와 84회 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해 의사가 됐다. 이후 인제대 부산백병원에서 인턴 수련을 마쳤으며, 토마스는 인제대 상계백병원 외과, 존은 인제대 부산백병원 내과에서 레지던트로 수련받아 올해 전문의 시험에 합격했다. 두 사람이 외과와 내과를 선택한 이유는 고국인 남수단에서의 의료활동을 염두에 둔 결정이었다. 남수단은 수년간의 내전을 겪어 많은 사람이 충분한 의료 서비스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외과를 선택한 토마스는 "남수단에는 외과 의사 부족으로 간단한 급성 충수염이나 담낭염 등도 빨리 수술받지 못해 죽는 사람들이 많아 도움이 되려고 외과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내과를 선택한 존도 "어릴 때부터 내전과 의사가 없는 환경 속에서 진료받지 못해 고통을 겪는 이들을 많이 봤다"며 "그중 말라리아, 결핵, 간염, 감염성 질환 등 내과 질환들이 대부분이라 이 길을 택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고향인 남수단 톤즈로 돌아가 이 신부가 못다 한 인술을 펼치고 싶다는 입을 모은다. 두 사람은 "한국이라는 나라를 알고 의학 공부를 통해 의사가 될 수 있었던 모든 것들이 이 신부님 덕분이다"며 "전공의 수련에 어려움 없이 임할 수 있게 도와준 인제대 백병원 교직원분들에게도 감사한다"고 마음을 전했다. 두 사람은 외과와 내과 의사 경험을 더 많이 쌓기 위해 각자 병원에서 전임의 과정을 마친 후 남수단으로 돌아가 의료활동과 후배 의사 양성에 힘을 쏟기로 했다. 한편 이태석 신부는 1987년 인제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가 됐다. 이후 살레시오회에 입회해 사제의 길을 선택한 뒤 2001년 아프리카 남수단의 오지 톤즈로 건너가 병실 12개짜리 병원과 학교, 기숙사를 짓고 구호, 의료, 선교 활동을 벌이다 2010년 대장암으로 48세에 선종했다. 출처:연합뉴스 모든 공감: 1최종주
    • 뉴스
    • 지구촌
    • 아프리카
    2024-02-24
  • 한국, 걸프 6개국과 FTA 협상 타결…신중동붐 확산 기반 마련
    우리나라가 걸프협력이사회(GCC)와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타결, 사우디를 포함해 GCC 6개국과의 FTA 체결로 신중동붐 확산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과 함께 중동·아프리카 진출 확대 토대를 다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이 서울에서 자심 모하메드 알 부다이위 GCC 사무총장과의 한-GCC 장관회담을 계기로 한-GCC FTA 협상을 최종 타결하고 이를 확인하는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한-GCC FTA는 우리나라가 체결한 25번째 FTA(협상 타결 기준)이며 아랍권 국가와는 지난 10월 타결된 한-아랍에미리트 CEPA(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에 이어 두 번째로 타결한 FTA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자심 모하메드 알 부다이위 걸프협력이사회(GCC) 사무총장이 28일 오전 서울 강남구 한국무역협회에서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공동선언문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뉴스1,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걸프협력이사회(Gulf Cooperation Council)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오만 6개국으로 구성된 관세동맹 형태의 경제협력체로 싱가포르 및 EFTA와는 FTA를 체결했으며 현재 영국, 중국, 일본 등과 FTA 협상을 진행 중이나 EU, 호주, 인도, 터키 등과의 FTA 협상은 중단된 상태다. 이번 한-GCC FTA 협상 타결은 우리나라가 거대 GCC 시장에 비교우위를 가지고 진출하면서 제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GCC FTA 협상은 2008년에 제1차 공식협상을 개최했으나, 2010년 GCC 측이 FTA 정책 재검토를 이유로 우리나라를 포함해 EU, 일본, 중국, 호주 등과 진행 중이던 모든 FTA 협상을 중단하면서 한-GCC FTA 협상도 10년 이상 중단됐다가 지난해 협상의 문을 다시 열었다. 올해 우리나라와 GCC 주요국과의 정상회담을 잇달아 개최하면서 한-GCC FTA 협상의 조속한 타결 필요성에 대한 강한 공감대가 형성돼 2차례 공식협상과 다수의 회기간회의 및 수석대표회의를 집중적으로 개최한 결과로 이날 타결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GCC 6개국과 우리나라 간 교역규모는 지난해 기준 1026억 달러에 달했다. 우리나라는 GCC로부터 주로 원유, LNG, 알루미늄을 포함한 에너지·자원 관련 품목을 주로 수입하며, 자동차·부품, 기계류를 포함한 제조물품과 무기류를 수출하는 교역 구조를 보이고 있다. GCC 6개국 모두 자국 제조업 육성을 포함해 비석유 분야 산업기반 구축에 적극적이며 대규모 인프라 건설이 예정돼 있다. 향후 의료기기·화장품, 농축수산물을 포함해 GCC로의 수출품목이 다변화되는 데 있어 한-GCC FTA가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GCC FTA를 통해 GCC 주요국의 영화·비디오 배급 서비스, 의료 및 치의료 서비스 등을 개방해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K-콘텐츠 및 한류 확산이 가속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아울러, GCC 현지에서 수집한 정보의 국경 간 이전을 허용하고 전자상거래를 촉진하는 규범을 포함한 디지털 통상규범 합의로 디지털을 활용한 우리 제품과 기업의 GCC 진출이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그동안 GCC 진출 우리 기업의 주요한 애로사항으로 제기돼 왔던 업무 목적의 입국 및 체류 조건을 완화해 GCC에서 우리 기업 활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통상규범 측면에서는 저작권·상표·디자인 등을 아우르는 지식재산권 규범에 합의했다. 이를 통해 GCC 역내에서 우리 기업의 지식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고 한류 열풍에 따른 K-콘텐츠와 제품의 불법 유통 또는 상품 도용 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구제장치를 확보해 중동 지역에서의 K-콘텐츠 및 제품의 안정적 확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GCC FTA는 별도의 경제협력 챕터를 통해 에너지·자원, 기업방문, ICT, 과학기술, 보건산업, 농·임·수산업, 건설 인프라, 바이오경제, 스마트팜, 시청각서비스, 항공서비스, 첨단산업 등 12개 분야를 중심으로 혁신적이고 포괄적인 경제 협력 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도 특징적이다. 이 가운데 에너지·자원, 바이오경제, 첨단산업, 스마트팜, 보건산업, 시청각서비스 등 6개 협력 분야는 개별 부속서를 채택해 세부 협력 방안을 구체적으로 포함하고 있어 해당 분야에서 우리나라와 GCC 국가 간 실질 협력과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정부는 이번 한-GCC FTA 협상 타결 선언 이후 법률 검토 및 협정문 국문 번역 등을 거쳐 내년 중 정식 서명을 추진하고, 이후 경제적 영향평가와 국회 비준 동의 등 각국의 국내 절차를 거쳐 이른 시기에 협정이 발효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한-GCC FTA를 기반으로 GCC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GCC 인접 중동국가 및 아프리카 국가들과 FTA 체결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2022년 한·GCC 품목별 교역현황(백만불), MTI 4단위.(출처=산자부 보도자료) ◆ 시장개방 한-GCC FTA를 통해 상품은 전체 품목 중 우리나라는 89.9%, GCC는 80.5%에 적용되는 관세를 20년 내 철폐하거나 감축하기로 했다. 우선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자동차 부품, 기계류(밸브, 증기터빈 등) 및 화학제품(합성수지, 정밀화학 등)의 관세가 상당수 철폐된다. 일부 승용차·화물차 등의 관세 철폐로 한국산 완성차의 가격 경쟁력 제고가 기대되며, 내연차 및 전기차용 핵심 부품의 관세가 철폐됨으로써 우리 기업의 현지 조립·생산을 위한 투자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기류의 경우 대부분 품목의 관세가 철폐돼 그동안 방위산업 수요가 빠르게 증가해 온 중동 시장에 대한 무기 수출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의료기기·화장품 등 수출유망품목과 쇠고기·참깨·조미김·어묵 등 주요 농축수산물 분야에서 GCC측 관세가 철폐되어 대 중동 식품 교역의 지평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GCC의 주력 생산품인 천연가스, 일부 석유제품 등은 우리측 수입 관세를 단계적으로 철폐하고 나프타는 관세를 50% 감축해 국내 석유화학 업계의 생산원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했다. GCC측 농산품의 경우 국내 생산이 없는 대추야자, 홍차 등 품목 위주로 개방함으로써 국내 관련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했다. 아울러, GCC측은 현재 대부분 품목에 5% 저율관세를 부과 중인데, 양허에서 제외된 품목이라도 향후 관세인상 없이 현 수준으로 관세를 유지하기로 합의해 교역의 불확실성을 해소했으며, 수출제한 시 사전통보·협의하도록 해 공급망 교란을 완화할 수 있도록 했다. 서비스 시장의 경우, GCC측은 영화·비디오 배급 서비스, 의료 및 치의료 서비스 등에서 기존 WTO 서비스 협정 대비 높은 수준으로 개방했다. 우선, 영화 배급 서비스 개방으로 현지에서 한국 영화를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K-콘텐츠 및 한류 확산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현지 병·의원급 기관의 설치·운영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한국 의료기관의 중동 진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GCC 진출 기업들의 애로사항 중 하나였던 업무 목적 입국 및 체류 조건도 완화했다. 업무 목적 방문자의 경우 체류 기간 및 갱신 등 조건에서 GATS 대비 개선된 양허를 통해 기업 활동에 편의를 도모했다. 정부조달의 경우 UAE, 바레인과 조달 시장 상호 개방에 합의했다. 조달 계약 추진 때 원칙적으로 공개입찰하고, 국내외 업체를 차별하지 않도록 규정했다. UAE와는 한-UAE CEPA보다 적용 대상 조달 규모의 하한선을 더 낮게 합의하며 실질적인 시장개방 범위를 확대했고, 바레인 정부나 공공기관 대상 건설서비스 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의 접근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협정문 자동차 부품, 기계 등 주요 공산품을 비롯해 우리측 경쟁력이 높은 주요 수출품은 해외산 재료나 부품을 활용해 제조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감안해 역외산 재료 활용이 가능하도록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도록 합의했다. 한편, 육류나 낙농품 등 동물성 생산품과 주요 농축수산물은 국내 업계의 민감성을 고려해 역내산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만 원산지로 인정하는 등 엄격한 기준을 설정했다. 조미김, 홍삼 등 가공 농수산식품의 경우에도 핵심 원재료는 국산을 사용하도록 하여 국내 생산 기반과 연계를 강화했다. 한편 디지털 제품에 대한 내국민 대우, 국경 간 정보 이전 허용 등을 도입함으로써 한국영화를 필두로 한 콘텐츠 수출여건을 개선했다. 나아가, GCC가 체결한 FTA 최초로 중소·스타트업, AI 등 신기술 분야의 구체적인 협력 요소를 규정해 양측 간 디지털 협력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아울러 미등록 디자인 보호 노력, 온라인상의 반복적인 이뤄지는 저작권 침해에 대한 대응 규정 등을 마련해 K-콘텐츠, 드라마 등 한류 확산을 가속화하도록 했다. ◆ 경제협력 이번 타결된 한-GCC FTA에는 그동안의 FTA에 비해 대폭 강화된 구체적인 경제협력 관련 내용이 6개의 개별 부속서를 통해 규정됐다. 우선 GCC가 체결한 FTA 최초로 ‘에너지·자원’ 및 ‘바이오경제’에 관한 부속서를 채택했다. ‘에너지·자원’ 부속서는 대체·신재생에너지 협력 및 공급 안정화 등을 포함하고 있고, ‘바이오경제’ 부속서에는 공급망 협력 강화, 인력교류, 공동연구 등의 협력에 관해 규정돼 있다. 6개 부속서는 우리나라와 GCC의 상호 관심 분야로서 미래 유망 분야를 중심으로 채택됐다. 그동안 각 기관·부처별 개별적·산발적으로 체결됐던 협력 양해각서(MOU)에서 나아가 정부 간 조약에 포함됨으로써 그 실효성이 대폭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안덕근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지난 10월 아랍에미리트와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을 타결하고 잇달아 이번 GCC와의 FTA 타결로 신중동붐 확산의 주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우리나라와 중동 간 협력 관계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내년부터 GCC 6개국과의 교역·투자 확대와 함께 GCC와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중동 전역과 인접해 있는 아프리카 권역까지 산업 및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협력을 집중적으로 추진해 통상과 산업·에너지 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 뉴스
    • 지구촌
    • 중동
    2023-12-28
비밀번호 :
www.sisak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