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23(목)

문화
Home >  문화

실시간뉴스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제3회 강원청소년 180초 영화제 개최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Hosts the 3rd Gangwon Youth 180-Second Film Festival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제3회 강원청소년 180초 영화제 개최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2.10 "We Are 1318, Sincere in 180 Seconds" The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Shin Kyung-ho) is set to host the 3rd Gangwon Youth 180-Second Film Festival on Tuesday, December 10, at Megabox Seoksa in Chuncheon, Comfort Hall 4. This festival is part of an initiative to expand student-led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It aim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young people to cultivate artistic sensitivity, creativity, imagination, and critical thinking by independently planning, expressing, and executing their own film projects. Additionally, the event seeks to help students recognize the diversity of cultural arts, encouraging them to express their inner emotions through film, a branch of the arts, and to experience emotional growth in the process. Film submissions were accepted starting in September, and the application process concluded in November. After a preliminary screening focused on creativity, originality, structure, and completeness, the top 10 films selected for the finals were announced on November 25 (Monday) via official notices and email. The 10 finalists include My Friend is an Alien (Goan Elementary School, G-Play) Classroom Assignment (Buan Elementary School, Back to School) The Haunted Tag Game (Bukwon Elementary School, Little Bong Joon-ho) NEW行 (New Direction) (Chundang Elementary School, Kids Singing Dreams) Bystander (Hwangdun Elementary School, HART) Eye – Anything (Bangsan Middle School, Pure Art) The Flower Language of April is Midterms (Gangwon Animation High School, Apple Box) REC (Kimhwa High School, HamBurger Time) Behind the World (Yangyang High School, Sinabro) Seon-a (Yookminkwan High School, YBS) The event on December 10 will be held under the theme, "We Are 1318, Sincere in 180 Seconds." It will include screenings of the 10 selected films, an awards ceremony, and evaluations by judges, including directors Jang Woo-jin, Park Keun-young, and Jung Hyung-seok. Lee In-beom, head of the Department of Culture, Sports, and Special Education, remarked, “This festival was designed to allow youth to freely explore themes from their own perspectives through film production. We will continue supporting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an communicate and express themselves through cinematic arts.” “180초에 진심인 우린 1318”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신경호)은 10일(화) 춘천 메가박스 석사점 컴포트 4관에서 ‘제3회 강원청소년 180초 영화제’를 개최한다. 이번 영화제는 학생 주도 협력형 예술활동 지원을 확대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청소년이 영화제를 스스로 기획․표현․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예술적 감수성 및 창의력․상상력․사고력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또한, 학생이 문화예술의 다양성을 인식하여 예술의 한 분야인 영화에서 내면의 감성을 외부로 표현하여 정서적 성장을 경험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 9월 작품신청서를 받아 11월 작품접수를 완료했으며, 작품의 창의성, 독창성, 구성력, 완성도 등을 중심으로 사전 선정 심사를 마친 후, 지난 11월 25일(월) 본선 진출 우수작 10편을 공문과 메일을 통해 발표했다. 본선 진출 상영작 아홉 작품은 내 친구는 외계인(고한초등학교, 지플레이),반배정(부안초등학교, 백스스쿨),공포의 술래잡기(북원초등학교, 리틀 봉준호),뉴행(NEW行)(춘당초등학교, 꿈을 노래하는 아이들) 방관자(황둔초등학교, HART),눈-무엇이든지(방산중학교, 더 순수),4월의 꽃말은 중간고사(강원애니고등학교, 애플박스), REC(김화고등학교, 햄부기 타임),세상 뒤에서(양양고등학교, 시나브로),선아(육민관고등학교, YBS)로 총 10작품이 영화제에서 영화를 상영할 예정이다. 영화제 당일인 10일(화)에는 ‘180초에 진심인 우린 1318’이라는 부제로 우수작 10편에 대한 상영과 시상식 및 심사위원 장우진 감독, 박근영 감독, 정형석 감독의 심사평을 듣는 시간도 갖는다. 이인범 문화체육특수교육과장은 “이번 영화제는 청소년의 관점에서 자유로운 주제로 영화를 제작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학생들이 영화예술을 통해 소통하고,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신경호#강원청소년180초영화제#예술#문화#시사k뉴스 #Education#Film festival #Film festival
    • 문화
    2024-12-11
  • 2024 Nobel Prize in Literature Ceremony and Banquet
    2024 Nobel Prize in Literature Ceremony and Banquet 2024 노벨 문학상 시상식과 축하 만찬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2.11 On December 10, 2024, the Nobel Prize Ceremony took place at the Stockholm Concert Hall in Sweden, drawing attention from invited guests and media worldwide. South Korean author Han Kang received the medal and diploma from King Carl XVI Gustaf of Sweden. The audience celebrated the moment with a standing ovation. The ceremony, lasting approximately 1 hour and 10 minutes, was streamed live on the Nobel Foundation's official YouTube channel. In her acceptance speech, Han Kang reflected on her childhood experiences and creative journey, emphasizing literature as an act of resistance against the destruction of life. She stated, “Literature holds a language akin to the warm touch that connects humanity,” conveying the power and significance of literature to the audience. Her speech highlighted her deeply humanistic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leaving a profound impression on those present. Following the ceremony, all laureates and key figures attended the Nobel Banquet held in the iconic Blue Hall of Stockholm City Hall. Renowned for its majestic decor and meticulously prepared cuisine, the venue featured a menu blending traditional Swedish dishes with modern flair. The banquet included formal speeches and open conversations among the laureates. During this time, Han Kang once again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and creativity through a brief but heartfelt remark. Han Kang donned a black dress that exuded elegance and simplicity, reflecting her literary depth and humble demeanor. Her understated style garnered praise for its alignment with her artistic values. The atmosphere at the event was a blend of solemnity and celebration, enhanced by musical performances and vibrant lighting that provided an unforgettable experience for the attendees. The Nobel Prize ceremony and banquet attracted significant international media attention, with Han Kang’s award inspiring readers in Korea and across the globe. Her speech and composed demeanor were particularly lauded for “reawakening the power of literature.” Han Kang’s achievement is more than a personal milestone; it marks a moment of global recognition for Korean literature. The ceremony and celebration spotlighted the transformative essence of literature, its ability to transcend boundaries, and its enduring power to move and connect people. 2024 노벨 문학상 시상식과 축하 만찬 2024년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노벨 시상식은 전 세계에서 초청된 인사들과 언론의 주목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작가 한강은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메달과 증서를 수여받았으며, 수상 순간 참석자들은 기립 박수를 보내며 축하했습니다. 시상식은 약 1시간 10분 동안 진행되었고, 노벨재단의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었습니다. 수상 연설에서 한강은 어린 시절의 경험과 창작 여정을 회고하며, 문학이 생명 파괴에 저항하는 행위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녀는 "문학은 인간을 연결하는 따뜻한 체온과 같은 언어를 품고 있다"며 문학의 힘과 의미를 청중에게 전했습니다. 이 연설은 작가의 인간적이고 철학적인 면모를 부각시키며 큰 감동을 안겼습니다. 시상식 이후, 모든 수상자와 주요 인사들은 스톡홀름 시청 내의 '블루홀'(Blue Hall)에서 열린 노벨 만찬에 참석했습니다. 블루홀은 웅장한 내부 장식과 세심하게 준비된 요리들로 유명하며, 이번 행사에서도 스웨덴의 전통 음식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메뉴가 제공되었습니다. 만찬은 공식 연설과 수상자들의 자유로운 대화로 이어졌으며, 한강은 이 자리에서 다시 한번 문학과 창작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간단한 소감을 전했습니다. 한강은 검은색 원피스를 입고 우아하면서도 절제된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그녀의 간결한 패션은 그녀의 문학적 깊이와 겸손한 태도를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행사장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경건하면서도 축제 분위기를 띠었으며, 음악 연주와 화려한 조명이 어우러져 참석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노벨 문학상 시상식과 만찬은 국제 언론에서 큰 주목을 받았으며, 한강의 수상 소식은 한국과 세계 독자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었습니다. 특히 그녀의 연설과 차분한 태도는 "문학의 힘을 새롭게 일깨워 주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한강 작가의 수상은 단순히 개인의 성취를 넘어, 한국 문학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번 시상식과 축하 행사는 문학의 경계를 확장하고, 사람들에게 감동을 전하는 문학의 본질을 다시금 조명한 자리였습니다. #The Nobel Prize ceremony #한강#노벨문학상 Nobel Prize ceremony #한강#노벨문학상 #South Korean author Han Kang#시사k뉴스 www.sisaknews.com
    • 문화
    2024-12-11
  • 2024 평창대관령음악제 대관령아카데미
    2024 평창대관령음악제 대관령아카데미 <영 아티스트 콘서트> 개최! <영 아티스트 콘서트>, 12월 12일(목) 오후 7시 강릉원주대학교 콘서트홀에서 개최 강원대, 강릉원주대, 한예종 재학 중인 유망한 영 아티스트들의 무대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가 주최하고 (재)강원문화재단(대표이사 신현상)이 주관하는 2024 평창대관령음악제 대관령아카데미 연중 교육프로그램 <영 아티스트 콘서트>가 12월 12일(목) 오후 7시 강릉원주대학교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영 아티스트 콘서트>는 2019년부터 대관령음악제가 연중 교육프로그램으로 진행해 온 음악 인재 발굴 및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클래식 음악의 미래를 이끌어갈 도내외 유망 영 아티스트들에게 무대 경험을 제공하며 연주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하고 있다. 이번 <영 아티스트 콘서트>를 여는 첫 번째 무대는 강원대 4학년에 재학중인 퍼커셔니스트 오상민의 타악기 연주이다. 이탈리아 퍼커션아츠 소사이어티 국제 타악기콩쿠르 스네어 드럼 부문에서 최연소 2위에 입상한 오상민은 알렉세이 게라시메즈-스네어 드럼을 위한 아즈벤투라스(Alexej Gerassimez-Asventuras for Snare Drum), 토마시 골린스키-루미노시티(Tomasz Golinski-Luminosity), 이안니스 크세나키스-리바운드 BIannis Xenakis-Rebonds B)를 연주한다. 이어 강릉원주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클라리네티스트 김한순의 무대가 펼쳐진다. 김한순은 리움챔버오케스트라 음악콩쿠르에서 공동 3위를 수상한 연주자로, 프랑시스 풀랑크-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FP 184(F. Poulenc-Sonata for Clarinet and Piano, FP 184), 조지 거슈윈-"파리의 미국인" 블루스(G. Gershwin-Blues from “An American in Paris”)를 같은 학교 출신 피아니스트 이하현의 반주로 선보인다. 마지막 순서에서는 한국예술종합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첼리스트 최아현과 1학년에 재학 중인 피아니스트 박해림이 요하네스 브람스–첼로 소나타 제2번 F장조, Op. 99(J. Brahms-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를 연주한다. 첼리스트 최아현은 이자이 국제 음악 콩쿠르 1위, 신한음악상, 성정음악콩쿠르 첼로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한 실력파 첼리스트이며, 박해림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청소년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1위 및 데니스 마추예프 특별상을 수상한 피아니스트다. 브람스 첼로 소나타 연주에 앞서 박해림은 리스트의 초절기교 연습곡 제12번 "눈보라"를 먼저 연주하며, 이어 두 사람은 낭만파 첼로 소나타의 대표작으로 콘서트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대관령아카데미 <영 아티스트 콘서트>는 전석 무료로 진행되며, 현재 대관령음악제 누리집(mpyc.kr)에서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 #영아티스트콘서트#오상민#김한순#최아현#박해림#눈보라 #대관령음악제#강릉원주대학교#시사k뉴스
    • 문화
    2024-12-08
  • Japanese Tea Ceremony Robot '151A' A Fusion of Tradition and Automation
    Japanese Tea Ceremony Robot '151A' A Fusion of Tradition and Automation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1.24 aNo Lab, a creative Japanese team, has unveiled the tea ceremony robot '151A', reimagining Japan’s traditional tea ceremony (茶道) through robotic technology. Tea ceremony, or sado, is one of the most refined arts in Japanese culture, alongside flower arranging (kado) and incense appreciation (kodo). Mastering its intricate techniques and rituals often requires years of practice. However, aNo Lab has demonstrated that sado can be harmonized with automation. The '151A' robot, activated via a user’s smartphone, meticulously replicates the steps of a traditional tea ceremony. It uses a wooden ladle to pour hot water into a teacup, adds powdered green tea in measured portions, and stirs the mixture with a bamboo whisk. After approximately 20 seconds of whisking, the tea is ready. Following tea etiquette, the robot even rotates the cup so that its front faces the guest. What sets '151A' apart is its ability to serve traditional Japanese wagashi (sweets), enhancing the authenticity of the tea gathering. Guests can enjoy both the aesthetic and flavorful aspects of the tea ceremony experience. A Fresh Perspective on Tradition aNo Lab stated, “Our goal is to create products that inspire new sensations in people.” The tea ceremony robot aims not only to showcase advanced technology but also to shed new light on the 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practices. Although it lacks the human interaction and conversation that often accompany tea gatherings, the robot holds potential as an accessible introduction to the complex art of Japanese tea culture. While the '151A' is not yet commercially available, it has been praised in Japan as a promising example of blending technological innovation with cultural preservation. Experts suggest the technology could also be adapted for other traditional crafts, such as preparing Japanese pudding (purin) or other traditional dishes. By bridging tradition and technology, the '151A' is opening a new chapter in the world of Japanese tea ceremony. Its impact on culture and innovation will be one to watch. #151A#kado#kodo#sado#다도#로봇#시사k뉴스
    • 문화
    2024-11-24
  • Author Han Kang! Congratulations.(한강 작가!축하합니다)
    Author Han Kang! Congratulations.(한강 작가!축하합니다) Reporter Jee,Hyungduk, Sisa K News October 11, 2024 Han Kang's Nobel Prize in Literature is a monumental event that has brought global recognition to Korean literature. Her works delicately and powerfully depict human suffering and healing, as well as the pain that emerges from violence and oppression. Through extreme situations in The Vegetarian and Human Acts, she explores the inner conflicts humans endure. These themes evoke deep empathy from readers. Han Kang’s writing style is both minimalistic and intense. Her restrained expressions carry deep emotions, allowing readers to feel the inner turmoil of her characters even more profoundly. While her sentences are short and concise, the meanings embedded within them are by no means light. This literary style has been highly regarded internationally. Additionally, Han Kang embeds deep reflections on humanity, nature, and life within her works. The Vegetarian explores human violence and nature through the lens of vegetarianism, prompting readers to reconside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nature. Her works spark philosophical reflection on life and nature, giving them profound depth. Another strength of Han Kang is her ability to intricately connect history with personal suffering. In Human Acts, she deals with the Gwangju Uprising, a painful chapter in Korea’s history, showing how history impacts individuals on a deeply personal level. This is one of the reasons her works resonate globally beyond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they evoke universal empathy. Finally, while her works are grounded in Korean sentiment, they address universal human experiences, forming a bond with global readers. Han Kang's ability to present uniquely Korean backgrounds while touching on themes and emotions that people worldwide can relate to has been a key factor in her international recognition. Han Kang’s Nobel Prize in Literature is not just a personal honor but a symbolic event marking Korean literature’s position as a vital part of world literature. Her works have once again proven the depth and potential of Korean literature, laying an important foundation for K-culture to expand globally. #노벨문학상#한강#k culture#congratulations#채식주의자#예심다도갤러리#시사k뉴스
    • 문화
    2024-10-11
  • 사우디 MZ세대 겨냥…현지에서 K-미용·음식·쇼핑 알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한국관광공사와 6일과 7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사우디 한국관광 페스타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현지 청년(MZ)세대 한류 관심층 2만 여명을 겨냥한 것으로, CJ ENM이 주최하는 중동 최대 규모의 케이팝 유료 콘서트 ‘케이콘 사우디아라비아 2023’과 연계해 콘서트 현장에서 진행한다. 문체부는 케이콘 주요 관람층이 10~30대인 만큼 이번 행사를 통해 구매력 있는 케이팝 팬들이 한국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5월 27일 부산 아시아주경기장에서 열린 국내 최대 K팝 행사인 ‘드림콘서트’ 현장 모습.(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문체부와 관광공사는 콘서트가 열리는 다목적 경기장 리야드 모하메드 압두 아레나에서 이니스프리, 농심 등과 함께 미용, 음식, 쇼핑을 주제로 홍보·체험관을 운영한다. 할랄 인증 마스크팩 체험, 할랄 인증 라면 증정 등 중동 특화 콘텐츠들도 다채롭게 구성할 예정이다. 또 ‘2023~2024 한국방문의 해’ 홍보관도 운영한다. 배우 이정재가 출연하는 2023 한국관광 해외광고 ‘챌린지 코리아’ 시리즈를 만나볼 수 있다. 중동 방한 시장을 확대하는 행사도 이어진다. ‘한국관광 트래블 마트’와 ‘한국관광의 밤’이 8일 오후 4시 제이더블유 메리어트 리야드에서 열린다. 한국관광 트래블 마트에서는 호텔롯데, 현대백화점 등 대형 숙박·쇼핑 업계를 포함한 14개 국내 업체가 참가해 현지 70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상담을 진행한다. 한국관광의 밤에서는 양국 정부 관계자와 현지 언론, 인플루언서 등 250여 명이 참석해 ‘의료, 쇼핑, 관광벤처’를 주제로 한국관광 설명회를 열고 업계 교류 기반을 만든다. 박종택 문체부 관광정책 국장은 “중동 핵심 6개국은 방한 관광객 1인당 평균 지출경비가 두 배 이상일 만큼 구매력이 높은 시장”이라며 “방한 가능성이 높은 한류 관심층이 밀집하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중동 제1 방한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 관광객을 적극 유치하고 고부가 방한 수요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 문화
    2023-10-07

실시간 문화 기사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제3회 강원청소년 180초 영화제 개최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Hosts the 3rd Gangwon Youth 180-Second Film Festival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제3회 강원청소년 180초 영화제 개최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2.10 "We Are 1318, Sincere in 180 Seconds" The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Shin Kyung-ho) is set to host the 3rd Gangwon Youth 180-Second Film Festival on Tuesday, December 10, at Megabox Seoksa in Chuncheon, Comfort Hall 4. This festival is part of an initiative to expand student-led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It aim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young people to cultivate artistic sensitivity, creativity, imagination, and critical thinking by independently planning, expressing, and executing their own film projects. Additionally, the event seeks to help students recognize the diversity of cultural arts, encouraging them to express their inner emotions through film, a branch of the arts, and to experience emotional growth in the process. Film submissions were accepted starting in September, and the application process concluded in November. After a preliminary screening focused on creativity, originality, structure, and completeness, the top 10 films selected for the finals were announced on November 25 (Monday) via official notices and email. The 10 finalists include My Friend is an Alien (Goan Elementary School, G-Play) Classroom Assignment (Buan Elementary School, Back to School) The Haunted Tag Game (Bukwon Elementary School, Little Bong Joon-ho) NEW行 (New Direction) (Chundang Elementary School, Kids Singing Dreams) Bystander (Hwangdun Elementary School, HART) Eye – Anything (Bangsan Middle School, Pure Art) The Flower Language of April is Midterms (Gangwon Animation High School, Apple Box) REC (Kimhwa High School, HamBurger Time) Behind the World (Yangyang High School, Sinabro) Seon-a (Yookminkwan High School, YBS) The event on December 10 will be held under the theme, "We Are 1318, Sincere in 180 Seconds." It will include screenings of the 10 selected films, an awards ceremony, and evaluations by judges, including directors Jang Woo-jin, Park Keun-young, and Jung Hyung-seok. Lee In-beom, head of the Department of Culture, Sports, and Special Education, remarked, “This festival was designed to allow youth to freely explore themes from their own perspectives through film production. We will continue supporting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an communicate and express themselves through cinematic arts.” “180초에 진심인 우린 1318”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교육감 신경호)은 10일(화) 춘천 메가박스 석사점 컴포트 4관에서 ‘제3회 강원청소년 180초 영화제’를 개최한다. 이번 영화제는 학생 주도 협력형 예술활동 지원을 확대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청소년이 영화제를 스스로 기획․표현․실행하는 과정을 통해 예술적 감수성 및 창의력․상상력․사고력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되었다. 또한, 학생이 문화예술의 다양성을 인식하여 예술의 한 분야인 영화에서 내면의 감성을 외부로 표현하여 정서적 성장을 경험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 9월 작품신청서를 받아 11월 작품접수를 완료했으며, 작품의 창의성, 독창성, 구성력, 완성도 등을 중심으로 사전 선정 심사를 마친 후, 지난 11월 25일(월) 본선 진출 우수작 10편을 공문과 메일을 통해 발표했다. 본선 진출 상영작 아홉 작품은 내 친구는 외계인(고한초등학교, 지플레이),반배정(부안초등학교, 백스스쿨),공포의 술래잡기(북원초등학교, 리틀 봉준호),뉴행(NEW行)(춘당초등학교, 꿈을 노래하는 아이들) 방관자(황둔초등학교, HART),눈-무엇이든지(방산중학교, 더 순수),4월의 꽃말은 중간고사(강원애니고등학교, 애플박스), REC(김화고등학교, 햄부기 타임),세상 뒤에서(양양고등학교, 시나브로),선아(육민관고등학교, YBS)로 총 10작품이 영화제에서 영화를 상영할 예정이다. 영화제 당일인 10일(화)에는 ‘180초에 진심인 우린 1318’이라는 부제로 우수작 10편에 대한 상영과 시상식 및 심사위원 장우진 감독, 박근영 감독, 정형석 감독의 심사평을 듣는 시간도 갖는다. 이인범 문화체육특수교육과장은 “이번 영화제는 청소년의 관점에서 자유로운 주제로 영화를 제작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학생들이 영화예술을 통해 소통하고,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신경호#강원청소년180초영화제#예술#문화#시사k뉴스 #Education#Film festival #Film festival
    • 문화
    2024-12-11
  • 2024 Nobel Prize in Literature Ceremony and Banquet
    2024 Nobel Prize in Literature Ceremony and Banquet 2024 노벨 문학상 시상식과 축하 만찬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2.11 On December 10, 2024, the Nobel Prize Ceremony took place at the Stockholm Concert Hall in Sweden, drawing attention from invited guests and media worldwide. South Korean author Han Kang received the medal and diploma from King Carl XVI Gustaf of Sweden. The audience celebrated the moment with a standing ovation. The ceremony, lasting approximately 1 hour and 10 minutes, was streamed live on the Nobel Foundation's official YouTube channel. In her acceptance speech, Han Kang reflected on her childhood experiences and creative journey, emphasizing literature as an act of resistance against the destruction of life. She stated, “Literature holds a language akin to the warm touch that connects humanity,” conveying the power and significance of literature to the audience. Her speech highlighted her deeply humanistic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leaving a profound impression on those present. Following the ceremony, all laureates and key figures attended the Nobel Banquet held in the iconic Blue Hall of Stockholm City Hall. Renowned for its majestic decor and meticulously prepared cuisine, the venue featured a menu blending traditional Swedish dishes with modern flair. The banquet included formal speeches and open conversations among the laureates. During this time, Han Kang once again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and creativity through a brief but heartfelt remark. Han Kang donned a black dress that exuded elegance and simplicity, reflecting her literary depth and humble demeanor. Her understated style garnered praise for its alignment with her artistic values. The atmosphere at the event was a blend of solemnity and celebration, enhanced by musical performances and vibrant lighting that provided an unforgettable experience for the attendees. The Nobel Prize ceremony and banquet attracted significant international media attention, with Han Kang’s award inspiring readers in Korea and across the globe. Her speech and composed demeanor were particularly lauded for “reawakening the power of literature.” Han Kang’s achievement is more than a personal milestone; it marks a moment of global recognition for Korean literature. The ceremony and celebration spotlighted the transformative essence of literature, its ability to transcend boundaries, and its enduring power to move and connect people. 2024 노벨 문학상 시상식과 축하 만찬 2024년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 노벨 시상식은 전 세계에서 초청된 인사들과 언론의 주목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작가 한강은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메달과 증서를 수여받았으며, 수상 순간 참석자들은 기립 박수를 보내며 축하했습니다. 시상식은 약 1시간 10분 동안 진행되었고, 노벨재단의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었습니다. 수상 연설에서 한강은 어린 시절의 경험과 창작 여정을 회고하며, 문학이 생명 파괴에 저항하는 행위임을 강조했습니다. 그녀는 "문학은 인간을 연결하는 따뜻한 체온과 같은 언어를 품고 있다"며 문학의 힘과 의미를 청중에게 전했습니다. 이 연설은 작가의 인간적이고 철학적인 면모를 부각시키며 큰 감동을 안겼습니다. 시상식 이후, 모든 수상자와 주요 인사들은 스톡홀름 시청 내의 '블루홀'(Blue Hall)에서 열린 노벨 만찬에 참석했습니다. 블루홀은 웅장한 내부 장식과 세심하게 준비된 요리들로 유명하며, 이번 행사에서도 스웨덴의 전통 음식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메뉴가 제공되었습니다. 만찬은 공식 연설과 수상자들의 자유로운 대화로 이어졌으며, 한강은 이 자리에서 다시 한번 문학과 창작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간단한 소감을 전했습니다. 한강은 검은색 원피스를 입고 우아하면서도 절제된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그녀의 간결한 패션은 그녀의 문학적 깊이와 겸손한 태도를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행사장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경건하면서도 축제 분위기를 띠었으며, 음악 연주와 화려한 조명이 어우러져 참석자들에게 잊을 수 없는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노벨 문학상 시상식과 만찬은 국제 언론에서 큰 주목을 받았으며, 한강의 수상 소식은 한국과 세계 독자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었습니다. 특히 그녀의 연설과 차분한 태도는 "문학의 힘을 새롭게 일깨워 주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한강 작가의 수상은 단순히 개인의 성취를 넘어, 한국 문학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번 시상식과 축하 행사는 문학의 경계를 확장하고, 사람들에게 감동을 전하는 문학의 본질을 다시금 조명한 자리였습니다. #The Nobel Prize ceremony #한강#노벨문학상 Nobel Prize ceremony #한강#노벨문학상 #South Korean author Han Kang#시사k뉴스 www.sisaknews.com
    • 문화
    2024-12-11
  • 2024 평창대관령음악제 대관령아카데미
    2024 평창대관령음악제 대관령아카데미 <영 아티스트 콘서트> 개최! <영 아티스트 콘서트>, 12월 12일(목) 오후 7시 강릉원주대학교 콘서트홀에서 개최 강원대, 강릉원주대, 한예종 재학 중인 유망한 영 아티스트들의 무대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가 주최하고 (재)강원문화재단(대표이사 신현상)이 주관하는 2024 평창대관령음악제 대관령아카데미 연중 교육프로그램 <영 아티스트 콘서트>가 12월 12일(목) 오후 7시 강릉원주대학교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영 아티스트 콘서트>는 2019년부터 대관령음악제가 연중 교육프로그램으로 진행해 온 음악 인재 발굴 및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클래식 음악의 미래를 이끌어갈 도내외 유망 영 아티스트들에게 무대 경험을 제공하며 연주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하고 있다. 이번 <영 아티스트 콘서트>를 여는 첫 번째 무대는 강원대 4학년에 재학중인 퍼커셔니스트 오상민의 타악기 연주이다. 이탈리아 퍼커션아츠 소사이어티 국제 타악기콩쿠르 스네어 드럼 부문에서 최연소 2위에 입상한 오상민은 알렉세이 게라시메즈-스네어 드럼을 위한 아즈벤투라스(Alexej Gerassimez-Asventuras for Snare Drum), 토마시 골린스키-루미노시티(Tomasz Golinski-Luminosity), 이안니스 크세나키스-리바운드 BIannis Xenakis-Rebonds B)를 연주한다. 이어 강릉원주대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클라리네티스트 김한순의 무대가 펼쳐진다. 김한순은 리움챔버오케스트라 음악콩쿠르에서 공동 3위를 수상한 연주자로, 프랑시스 풀랑크-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FP 184(F. Poulenc-Sonata for Clarinet and Piano, FP 184), 조지 거슈윈-"파리의 미국인" 블루스(G. Gershwin-Blues from “An American in Paris”)를 같은 학교 출신 피아니스트 이하현의 반주로 선보인다. 마지막 순서에서는 한국예술종합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첼리스트 최아현과 1학년에 재학 중인 피아니스트 박해림이 요하네스 브람스–첼로 소나타 제2번 F장조, Op. 99(J. Brahms-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를 연주한다. 첼리스트 최아현은 이자이 국제 음악 콩쿠르 1위, 신한음악상, 성정음악콩쿠르 첼로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한 실력파 첼리스트이며, 박해림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청소년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1위 및 데니스 마추예프 특별상을 수상한 피아니스트다. 브람스 첼로 소나타 연주에 앞서 박해림은 리스트의 초절기교 연습곡 제12번 "눈보라"를 먼저 연주하며, 이어 두 사람은 낭만파 첼로 소나타의 대표작으로 콘서트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대관령아카데미 <영 아티스트 콘서트>는 전석 무료로 진행되며, 현재 대관령음악제 누리집(mpyc.kr)에서 사전예약을 받고 있다. #영아티스트콘서트#오상민#김한순#최아현#박해림#눈보라 #대관령음악제#강릉원주대학교#시사k뉴스
    • 문화
    2024-12-08
  • Japanese Tea Ceremony Robot '151A' A Fusion of Tradition and Automation
    Japanese Tea Ceremony Robot '151A' A Fusion of Tradition and Automation 시사k뉴스 지형덕 기자 2024.11.24 aNo Lab, a creative Japanese team, has unveiled the tea ceremony robot '151A', reimagining Japan’s traditional tea ceremony (茶道) through robotic technology. Tea ceremony, or sado, is one of the most refined arts in Japanese culture, alongside flower arranging (kado) and incense appreciation (kodo). Mastering its intricate techniques and rituals often requires years of practice. However, aNo Lab has demonstrated that sado can be harmonized with automation. The '151A' robot, activated via a user’s smartphone, meticulously replicates the steps of a traditional tea ceremony. It uses a wooden ladle to pour hot water into a teacup, adds powdered green tea in measured portions, and stirs the mixture with a bamboo whisk. After approximately 20 seconds of whisking, the tea is ready. Following tea etiquette, the robot even rotates the cup so that its front faces the guest. What sets '151A' apart is its ability to serve traditional Japanese wagashi (sweets), enhancing the authenticity of the tea gathering. Guests can enjoy both the aesthetic and flavorful aspects of the tea ceremony experience. A Fresh Perspective on Tradition aNo Lab stated, “Our goal is to create products that inspire new sensations in people.” The tea ceremony robot aims not only to showcase advanced technology but also to shed new light on the 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practices. Although it lacks the human interaction and conversation that often accompany tea gatherings, the robot holds potential as an accessible introduction to the complex art of Japanese tea culture. While the '151A' is not yet commercially available, it has been praised in Japan as a promising example of blending technological innovation with cultural preservation. Experts suggest the technology could also be adapted for other traditional crafts, such as preparing Japanese pudding (purin) or other traditional dishes. By bridging tradition and technology, the '151A' is opening a new chapter in the world of Japanese tea ceremony. Its impact on culture and innovation will be one to watch. #151A#kado#kodo#sado#다도#로봇#시사k뉴스
    • 문화
    2024-11-24
  • Author Han Kang! Congratulations.(한강 작가!축하합니다)
    Author Han Kang! Congratulations.(한강 작가!축하합니다) Reporter Jee,Hyungduk, Sisa K News October 11, 2024 Han Kang's Nobel Prize in Literature is a monumental event that has brought global recognition to Korean literature. Her works delicately and powerfully depict human suffering and healing, as well as the pain that emerges from violence and oppression. Through extreme situations in The Vegetarian and Human Acts, she explores the inner conflicts humans endure. These themes evoke deep empathy from readers. Han Kang’s writing style is both minimalistic and intense. Her restrained expressions carry deep emotions, allowing readers to feel the inner turmoil of her characters even more profoundly. While her sentences are short and concise, the meanings embedded within them are by no means light. This literary style has been highly regarded internationally. Additionally, Han Kang embeds deep reflections on humanity, nature, and life within her works. The Vegetarian explores human violence and nature through the lens of vegetarianism, prompting readers to reconside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nature. Her works spark philosophical reflection on life and nature, giving them profound depth. Another strength of Han Kang is her ability to intricately connect history with personal suffering. In Human Acts, she deals with the Gwangju Uprising, a painful chapter in Korea’s history, showing how history impacts individuals on a deeply personal level. This is one of the reasons her works resonate globally beyond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they evoke universal empathy. Finally, while her works are grounded in Korean sentiment, they address universal human experiences, forming a bond with global readers. Han Kang's ability to present uniquely Korean backgrounds while touching on themes and emotions that people worldwide can relate to has been a key factor in her international recognition. Han Kang’s Nobel Prize in Literature is not just a personal honor but a symbolic event marking Korean literature’s position as a vital part of world literature. Her works have once again proven the depth and potential of Korean literature, laying an important foundation for K-culture to expand globally. #노벨문학상#한강#k culture#congratulations#채식주의자#예심다도갤러리#시사k뉴스
    • 문화
    2024-10-11
  • 사우디 MZ세대 겨냥…현지에서 K-미용·음식·쇼핑 알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한국관광공사와 6일과 7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사우디 한국관광 페스타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현지 청년(MZ)세대 한류 관심층 2만 여명을 겨냥한 것으로, CJ ENM이 주최하는 중동 최대 규모의 케이팝 유료 콘서트 ‘케이콘 사우디아라비아 2023’과 연계해 콘서트 현장에서 진행한다. 문체부는 케이콘 주요 관람층이 10~30대인 만큼 이번 행사를 통해 구매력 있는 케이팝 팬들이 한국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5월 27일 부산 아시아주경기장에서 열린 국내 최대 K팝 행사인 ‘드림콘서트’ 현장 모습.(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문체부와 관광공사는 콘서트가 열리는 다목적 경기장 리야드 모하메드 압두 아레나에서 이니스프리, 농심 등과 함께 미용, 음식, 쇼핑을 주제로 홍보·체험관을 운영한다. 할랄 인증 마스크팩 체험, 할랄 인증 라면 증정 등 중동 특화 콘텐츠들도 다채롭게 구성할 예정이다. 또 ‘2023~2024 한국방문의 해’ 홍보관도 운영한다. 배우 이정재가 출연하는 2023 한국관광 해외광고 ‘챌린지 코리아’ 시리즈를 만나볼 수 있다. 중동 방한 시장을 확대하는 행사도 이어진다. ‘한국관광 트래블 마트’와 ‘한국관광의 밤’이 8일 오후 4시 제이더블유 메리어트 리야드에서 열린다. 한국관광 트래블 마트에서는 호텔롯데, 현대백화점 등 대형 숙박·쇼핑 업계를 포함한 14개 국내 업체가 참가해 현지 70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상담을 진행한다. 한국관광의 밤에서는 양국 정부 관계자와 현지 언론, 인플루언서 등 250여 명이 참석해 ‘의료, 쇼핑, 관광벤처’를 주제로 한국관광 설명회를 열고 업계 교류 기반을 만든다. 박종택 문체부 관광정책 국장은 “중동 핵심 6개국은 방한 관광객 1인당 평균 지출경비가 두 배 이상일 만큼 구매력이 높은 시장”이라며 “방한 가능성이 높은 한류 관심층이 밀집하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중동 제1 방한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 관광객을 적극 유치하고 고부가 방한 수요를 극대화하겠다”고 밝혔다.
    • 문화
    2023-10-07
  • [Photo News] 김건희 여사, 한빛예술단 창립 20주년 기념음악회 관람
    지난 9월 13일 김건희 여사는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시각장애인 전문연주단 한빛예술단 창립 20주년 기념음악회를 관람하였습니다.
    • 문화
    2023-09-14
  • 베이징·상하이서 K-관광 로드쇼…장미란 차관, 세일즈 나선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중국 국경절을 겨냥해 오는 13일 베이징, 15일∼17일 상하이에서 ‘K-관광 로드쇼’를 잇따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장미란 문화체육부 차관은 한중 관광 분야 고위급 면담부터 베이징·상하이 로드쇼까지 K-관광 세일즈 전면에 나선다. 문체부는 지난달 10일 중국의 한국 단체관광 재개 발표 이후 지난 4일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중국인 방한 관광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그 첫걸음으로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 특히 상하이 대형 쇼핑몰(환치유강)에서 열리는 상하이 ‘K-관광 로드쇼’ 는 2016년 ‘청두 한국문화관광대전’ 이후 7년 만에 중국 현지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여는 대규모 한국 관광 마케팅 행사여서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 중국의 국경절 연휴기간은 대표적인 여행 성수기로, 지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국경절 연휴기간에는 일일 중국인 관광객 수가 평소보다 39%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문체부는 중국인 한국 단체관광 재개 이후 첫 국경절 연휴를 앞두고 이번 행사를 통해 중국인 유치를 강화한다. 13일 베이징 ‘K-관광 로드쇼’는 한중 여행업계의 교류망 재건을 위한 기업 간 거래(B2B) 행사로 진행한다. 베이징 포시즌호텔에서 서울, 부산, 제주 등 전국 9개 지방자치단체와 32개 중국 전담여행사, 호텔과 면세점, 항공사와 테마파크 등 64개 기관이 참여해 베이징 지역 여행사, 온라인여행플랫폼 등 88개 기관을 대상으로 한국관광을 홍보한다. 이후에는 상하이로 옮겨 15일부터 17일까지 행사를 이어간다. 15일에는 한국 13개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71개 기관, 중국 상하이 지역 관광업계 77개 기관이 참가하는 한중 관광업계 세미나와 기업 간 거래(B2B) 행사를 연다. 16일과 17일에는 상하이 환치유강 쇼핑몰에서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K-관광 마케팅 행사를 개최한다. 중국인 방한 관광시장의 프리미엄화를 위해 특색 있는 K-관광 콘텐츠를 전면 앞세우고 중국 MZ세대를 겨냥한 K-뷰티 체험 등 K-컬처와 연계한 관광 상품과 다양한 신규 지역 관광지를 소개할 계획이다. 중국 3대 온라인여행플랫폼인 씨트립, 취날, 퉁청과도 협력해 16일 씨트립과 함께 호텔과 항공권을 현장 생중계로 판매하고, ‘K-관광 로드쇼’의 열기를 이어가기 위해 15일부터 한 달 동안 취날·퉁청에서 ‘한국여행의 달’ 프로모션도 추진한다. 장미란 차관은 13일 베이징에서 라오췐 중국 문화여유부 부부장을 만나 한중 관광분야 고위급 교류를 이어간다. 이후 장 차관은 13일부터 16일까지 베이징과 상하이 로드쇼 현장을 방문해 직접 K-관광을 세일즈하고, 중국 현지에 참석한 한국 관광업계 관계자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장 차관은 “중국인 방한 관광 회복이 한국 관광산업 재도약과 내수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는 핵심 과제 중 하나인 만큼 ‘2023-2024 한국방문의 해’를 맞이해 중국 관광시장 확대를 위해 직접 뛰겠다”고 밝혔다. 중국 ‘K-관광 로드쇼’ 포스터.(사진=문화체육관광부)
    • 문화
    2023-09-13
  • [Photo News]김건희 여사,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전시 관람
    지난 9월1일 김건희 여사는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전시를 관람했습니다.
    • 문화
    2023-09-05
비밀번호 :
www.sisaknews.com